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TF기획-4대금융下] 신한·KB·우리·하나, 2017년 풀어가야 할 숙제는?
입력: 2017.01.02 09:00 / 수정: 2017.01.02 09:00

금융권의 불황이 이어지는 상황 속 올해 금융사별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사진은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더팩트 DB
금융권의 불황이 이어지는 상황 속 올해 금융사별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사진은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왼쪽부터) /더팩트 DB

2016년 금융권은 경영 환경이 악화됐다는 관측에도 위기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저금리·저성장 기조 장기화로 고민을 쉽게 지울 수 없는 상황이다. <더팩트>는 신한·KB·우리·하나 등 주요 4대 금융사를 중심으로 이들을 둘러싼 이슈를 돌아보고, 올 한 해 이들 금융사에 놓인 과제와 전망 등을 키워드를 통해 알아본다. <편집자주>

[더팩트ㅣ서민지Ⅱ 기자] 금융권이 '다사다난'했던 2016년을 뒤로 한 채 새로운 마음으로 2017년을 맞이하게 됐다. 금융권에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이러한 환경에 대처하는 것은 물론 금융사별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오는 3월 신한금융지주 차기 회장이 선임되는 가운데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왼쪽)과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신한금융 제공
오는 3월 신한금융지주 차기 회장이 선임되는 가운데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왼쪽)과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신한금융 제공

◆신한금융, 안정적인 '경영승계'

신한금융지주(신한금융)는 지주 회장의 선임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금융업계 '1위'를 이끌어야 할 수장을 새로 뽑아야 하는 만큼 신한금융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의 임기는 오는 3월로 새로운 후임이 자리를 넘겨받게 된다. 신한금융은 회장 나이를 만 70세 이하로 제한하고 있어 한 회장은 임기를 마친 뒤 회장 자리를 떠나야 한다.

한 회장에게는 임기 전 안정적인 경영승계가 가장 큰 고민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0년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이 회장직을 두고 다툰 이른바 '신한사태'가 발생했던 만큼 재발 방지를 위해 신경을 쏟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특히 KB금융이 무서운 속도로 '리딩뱅크'를 위협하고 있는 만큼 이번 회장 선임은 더욱 중요하게 와 닿을 수밖에 없다.

현재 차기 신한금융 회장으로 가장 유력하게 떠오르는 인물은 조용병 신한은행장과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으로 사실상 양강으로 압축되고 있다.

조 행장은 1984년 신한은행에 입행해 인사부장, 기획부장, 리테일부문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고, 2015년 신한은행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조 행장은 리스크 관리를 통해 신한은행의 '리딩뱅크' 자리를 지키며 안정적으로 조직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위 사장 역시 대표적인 '신한맨'으로 불린다. 1985년 신한은행에 입행한 그는 영업점 지점장을 거쳐 신한금융 부사장, 신한은행 부행장 등을 거쳐 2013년부터 신한카드 사장을 지내왔다. 지난해 8월에는 연임에 성공했다.

KB금융지주가 성과연봉제 등으로 계열사에서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시급한 상태다. /더팩트 DB
KB금융지주가 성과연봉제 등으로 계열사에서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시급한 상태다. /더팩트 DB

◆KB금융, 계열사별 잡음 해결

리딩뱅크로 한 걸음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KB금융지주(KB금융)는 계열사별 잡음 해결이 시급하다. 계열사 통합 과정에서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는 것은 물론 성과연봉제를 두고 노조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KB금융은 은행을 비롯해 계열사에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행하면서 노조와 갈등을 빚고 있다. 최근 KB손해보험(KB손보)과 KB국민카드가 성과연봉제 설명회를 개최하자 노조들이 반발에 나서기도 했다.

KB국민은행은 노조의 동의 없이 이사회 의결로 성과연봉제를 도입했다. KB국민카드는 노조의 반발이 거세지자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갈등이 다소 사그라들긴 했지만, 완전하게 해소되지 않아 긴장 상태는 이어지고 있다.

KB손보의 경우 노조가 양종희 사장을 노동법 위반으로 고소했다. 양 사장이 노조의 정당한 쟁의 활동을 방해했다는 이유에서다.

올해 출범한 KB증권의 경우 현대증권과 KB투자증권의 임금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대증권과 KB투자증권의 1인 평균 연봉은 지난해 기준 각각 9700만 원, 8000만 원 정도로 20% 가까이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KB금융은 현대증권의 급여를 7% 줄이는 조정안을 제시했지만, 노조가 강하게 맞서고 있다. 반면 KB투자증권이 현대증권보다 승진 연령은 4년가량 빨라 이 역시도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은행이 오랜 숙원인 민영화에 성공했지만, 정부로부터 완전한 독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팩트 DB
우리은행이 오랜 숙원인 민영화에 성공했지만, 정부로부터 '완전한 독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팩트 DB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 후 독립성 확보 '관건'

우리은행은 민영화 성공으로 무거운 과제를 해결했지만 이에 따른 '독립성' 확보가 또 다른 숙제로 다가왔다. 정부가 경영권에서 손을 떼기로 했지만, 시장에서 '완전한 독립'은 사실상 힘들 것이라는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그동안 숱하게 민영화에 실패하면서 이번에는 새로운 방식으로 지분 매각을 진행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택해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있던 지분 48.09% 중 30%를 4~8% 수준으로 쪼개 팔았다. 그동안 추진하던 경영권 매각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자 이같은 결정을 내렸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예금보험공사(예보)는 우리은행과 체결한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을 즉시 해지해 정부의 경영불개입 및 과점주주들에 의한 자율경영을 보장해주기로 했다.

하지만 예보가 여전히 최대주주로 남아 있어 정부의 그늘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힘들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특히 국내 금융사들이 금융 당국의 감독을 받고 있는 만큼 당국의 입김을 거부하기 더욱 힘들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 때문에 예보의 우리은행 잔여 지분 처분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예보 또한 우리은행 잔여 지분 21.4%에 대한 매각을 계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행장 선임 또한 중요한 관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민영화 후 처음 조직을 이끌어가는 수장인 만큼 낙하산 인사를 척결하고, 독립성을 확보한 리더십 있는 행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나금융지주의 실적이 은행에 치우쳐 있어 비은행 부문의 강화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더팩트 DB
하나금융지주의 실적이 은행에 치우쳐 있어 비은행 부문의 강화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더팩트 DB

◆하나금융, 비은행 부문 강화 필요

하나금융지주(하나금융)는 은행 합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호실적을 이어가며 합병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순익이 은행에 지나치게 편중돼 있어 계열사 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3분기 누적 4501억 원의 당기순익을 올리며 분기 기준으로 2012년 1분기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하나·외환은행의 합병 후 지난해 6월 전산통합을 마무리하면서 통합 시너지 효과가 본격적으로 발휘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깜짝 실적'이 은행에 치우쳐 있어 비은행 부문 강화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3분기 하나금융의 순익 중 비은행 계열사의 비중은 14% 정도로 은행이 차지하는 부분이 85%가 넘는다.

타 금융사를 살펴보면 지난해 3분기 연결 기준 순익에서 비은행 부문의 비중은 신한금융이 35%, KB금융이 28%로 나타났다. 국내 금융사가 실적을 은행에 의존하는 편이지만, 하나금융의 의존도가 가장 높다.

업계에서는 하나금융의 비은행 계열사 수익 비중이 낮은 것은 최근 몇 년간 은행 통합에 집중하면서 비은행 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신경 쓰지 못한 탓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은행 통합이 마무리된 만큼 올해 뒤처진 비은행 부문을 바짝 추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하나금융은 비은행 부문 강화를 꾀하고 있기도 하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2025년까지 하나금융의 전체 순익에서 비은행 부문의 비중을 30%까지 확대하는 목표를 세우기도 했다.

jisseo@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