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경제일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청문회 'D-1' 출석 앞둔 재벌 총수 '9인' 표정은?
입력: 2016.12.05 05:40 / 수정: 2016.12.05 10:12
국회에서 진행되는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를 하루 앞둔 5일 그룹 총수가 증인으로 채택된 그룹들은 막바지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팩트 DB
국회에서 진행되는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를 하루 앞둔 5일 그룹 총수가 증인으로 채택된 그룹들은 막바지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 | 서재근 기자] 재계에 있어 이번 한 주는 말 그대로 '초비상'이다.

전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박근혜 대통령 '비선 실세' 최순실 씨의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전담 수사권을 쥔 박영수 특별검사가 이르면 이번 주말부터 대통령의 뇌물죄 혐의 입증을 위한 본격적인 수사를 예고하고 있는 데다가 재벌 총수 9인에 대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청문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지난달 총수들이 잇달아 검찰 문턱을 넘었을 때만 하더라도 재계 관계자들의 입에선 '급한 불'을 껐다는 나름의 평가가 나왔지만, 한 달도 채 안 돼 사정 당국과 국회가 기업 총수를 향한 날 선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자 연루 의혹이 불거진 기업마다 혹시 모를 '돌발 시나리오'에 대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5일 재계에 따르면 오는 6일로 예정된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그룹 총수가 증인으로 채택된 그룹들은 각자 불거진 의혹들과 이슈와 관련해 '맞춤형' 모의 문답까지 만들며 막바지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청문회에서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향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국민연금이 의도적으로 찬성표를 던진 것 아니냐는 의혹 등 대가성에 무게를 둔 질문을 쏟아낼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청문회에서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향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국민연금이 의도적으로 찬성표를 던진 것 아니냐는 의혹 등 '대가성'에 무게를 둔 질문을 쏟아낼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청문회에 증인으로 채택된 기업 총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허창수 GS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 모두 9명이다.

이들이 속한 기업들 모두 이번 국정농단 사태에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금을 지원했고, 그에 따른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마라톤' 청문회를 견뎌야 한다는 점, 검증 안 된 의혹을 토대로 한 국조특위 위원들의 날 선 질문 세례를 소화해야 한다는 점 역시 총수들에게는 '넘어야 할 산'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같은 공통점에도 청문회를 하루 앞둔 시점에서 그룹별로 느끼는 부담의 크기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머릿속이 가장 복잡한 곳은 삼성그룹이다. 삼성그룹은 두 재단 출연금 지원이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정에서 국민연금의 '찬성표'를 얻기 위한 일종의 '밑작업'이 아니었냐는 의혹이 제기된 것은 물론 최순실 씨와 그의 딸 정유라 씨에 대한 추가 지원 정황까지 검찰 수사로 드러난 상황이다.

이미 특검에서도 대통령의 뇌물수수 및 제3자뇌물수수 혐의 입증에 수사 초점을 맞춘 상황인 만큼 이번 청문회에서도 '대가성'에 무게를 둔 질문들이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 측에서도 청문회 직전까지 국민연금 '특혜' 의혹에 대한 질문은 물론 그룹 차원의 소명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 과정에서 면세점 사업권 특혜를 전제로 한 모종의 거래가 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진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날 선 질문 공세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 과정에서 면세점 사업권 특혜를 전제로 한 '모종의 거래'가 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진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날 선' 질문 공세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면세점 특혜 의혹이 불거진 SK와 롯데그룹 총수의 어깨도 무겁다. SK그룹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지원한 출연금 규모는 모두 111억 원이다. 그룹 측은 두 재단에 대한 자금 지원 규모는 회사 매출 규모와 비례해 책정된 것으로 출연금 역시 자발적으로 이뤄진 투자라는 견해를 유지하고 있지만, 검찰 수사 과정에서 최태원 회장이 지난 2월 박근혜 대통령과 독대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특혜를 전제로 한 '밀담'이 오간 것 아니냐는 질문 공세는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신동빈 회장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 정부의 면세점 추가 발표 시점이 신동빈 회장과 박근혜 대통령의 독대 시점과 맞물린 데다가 특검에서도 롯데 측이 K스포츠재단에 70억 원을 추가 출연하기로 하고 돈을 냈다가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이를 돌려받은 것과 관련해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고 보고 수사를 원점에서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외에도 청와대와 비선이 노골적으로 그룹 경영에 개입, 외압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진 CJ그룹과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경질 의혹이 불거진 한진그룹은 물론 그룹 총수가 이번 국정농단 사태 수사 초기부터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에 재계 쪽 자금을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는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수장을 맡고 있는 GS그룹 등도 막바지 청문회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롯데그룹 역시 신동빈 회장의 청문회 출석을 앞두고 면세점 특헤 의혹에 대한 해명 등 사전 준비에 매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 역시 신동빈 회장의 청문회 출석을 앞두고 면세점 특헤 의혹에 대한 해명 등 사전 준비에 매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기업 관계자는 "청문회를 앞두고 겉으로는 차분한 분위기가 유지되고 있는 거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내부적으로는 말 그대로 '비상상황'이다. 10대 그룹 총수가 일제히 국감 증인에 채택된 전례를 찾기도 어렵고, 이번 국정 농단 사태 자체가 너무도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만으로도 기업에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라며 "무엇보다 예상에 없던 돌발 질문과 (총수들의) 답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 등은 기업 이미지는 물론 앞으로 전개될 특검 수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는 "사전 준비는 말할 것도 없고, 총수 의전 문제 등 신경 써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다"라며 "일부 대기업에서는 예년과 비슷한 일정으로 임원 정기 인사 등 주요 경영 스케줄을 단행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일정조차 안갯속인 곳도 상당수인 데 이번 청문회를 끝으로 더이상의 혼란이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likehyo85@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