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자동차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폭스바겐·아우디·BMW·벤츠 '콧대 높던' 독일 '빅4', '찬밥' 신세 되나
입력: 2015.10.05 11:27 / 수정: 2015.10.05 11:30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등 이른바 독일 빅4로 불리며 수입차 업계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 온 독일 완성차 업계가 폭스바겐 사태 이후 CEO에 대한 국정감사 증인채택 등 정부의 압박 등이 더해지며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 더팩트 DB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등 이른바 '독일 빅4'로 불리며 수입차 업계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 온 독일 완성차 업계가 '폭스바겐 사태' 이후 CEO에 대한 국정감사 증인채택 등 정부의 압박 등이 더해지며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 더팩트 DB

BMW, 메르세데스-벤츠(이하 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등 이른바 '독일 빅4'로 불리며 수입차 업계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 온 독일 완성차 업계들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유례없는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 파문으로 수입차 전반에 대한 불신이 늘어난 가운데 올해 국정감사에 수입차 업계 CEO들이 대거 증인으로 채택된 것은 물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수입차 보험료와 관련해 금융 당국이 대대적으로 개편에 나설 뜻을 밝히는 등 수입차 업계에 대한 압박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 '폭스바겐 스캔들' 벤츠·BMW '좌불안석'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BMW와 벤츠의 디젤 차량도 유럽연합(EU)의 배출가스 허용 기준을 초과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5일 영국 일간지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영국 리즈대학 교통연구소가 BMW와 벤츠, 포드, 마쓰다 등 독일과 미국, 일본의 주요 완성차 업계 4곳에서 제작한 일부 디젤 모델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MW(0.45g/km)와 벤츠(0.42g/km)의 경우 배기가스 저감장치 조작이 드러난 폭스바겐(0.41g/km)과 아우디(0.36g/km)보다 배출량이 오히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폭스바겐이 국내에서 최대 12만 대에 달하는 차량에 대해 리콜 조치를 할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에서 BWM와 벤츠 등 독일 주요 브랜드에서도 배출가스 문제가 수면에 오른 만큼 이들 업체에 대한 대규모 리콜 조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 폭스바겐·BMW코리아 CEO 국감서 질문 공세 '불가피'

오는 8일 열리는 국토부 종합감사에 토머스 쿨 폭스바겐코리아 사장(왼쪽),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 등 완성차 업체 대표 3명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오는 8일 열리는 국토부 종합감사에 토머스 쿨 폭스바겐코리아 사장(왼쪽),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 등 완성차 업체 대표 3명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폭스바겐 사태'는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주요 이슈로 꼽힌다.

대규모 리콜과 소송전이 예고되는 등 파장이 커지자 국회가 폭스바겐코리아, BMW코리아 등 수입차 업계 수장들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했다.

자동차업계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등에 따르면 오는 8일 열리는 국토부 종합감사에 토머스 쿨 폭스바겐코리아 사장,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 김충호 현대자동차 사장 등 완성차 업체 대표 3명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토머스 쿨 사장에게는 이번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 사태와 관련해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김효준 사장은 수입차 업계의 과다 수리비 논란, 김충호 사장은 급발진 의심 사고 및 연비 조작 의혹 등에 대해 질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폭스바겐 배출가스 저감자치 조각 사태에 대한 부실한 대응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폭스바겐 코리아는 미국에서 디젤 차량 배기가스 조작 사태와 관련해 지난달 25일 공식 홈페이지에 "한국 내 모든 고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모든 조치를 할 것"이라며 "한국 시장에서 시판 중인 모든 차량을 면밀히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회사 측도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원론적인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았다.

◆ '먼지 쌓인' 재고 수입차 '5만5000여 대' 역대 최다

폭스바겐 '연비 조작 사태'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신 역시 확산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번 사태로 수입차 판매가 급감하면서 수입차 재고 물량이 5만5000여 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 재고 비율이란 수입된 물량 중 판매되지 않고 재고로 남은 차량 비율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수입차 재고량은 5만4781대로 3만1702대를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무려 72.8%나 급증했다.

수입차 재고량은 지난 2011년 7774대를 기록한 이후 2012년 1만8480대, 2013년 2만9816대, 지난해 6만2980대를 기록하는 등 해마다 늘고 있는 추세다. 업계에서는 올해 폭스바겐 사태의 여파로 연말까지 8만여 대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도 수입차 판매가 일정 수준을 유지한 것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이 한몫을 차지했다"면서 "그러나 이번 폭스바겐 사태로 해당 브랜드 뿐만 아니라 벤츠, BMW 등 독일 완성차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하면서 실제 판매량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금융 당국 '요지부동' 수입차 보험료 '손 본다'

오는 13일 금융당국과 손해보험업계, 보험개발원, 소비자단체, 국토교통부 등은 국회에서 수입차 보험 합리화 방안을 놓고 공청회를 진행한다.
오는 13일 금융당국과 손해보험업계, 보험개발원, 소비자단체, 국토교통부 등은 국회에서 수입차 보험 합리화 방안을 놓고 공청회를 진행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입차에 대한 보험료 역시 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오는 13일 금융당국과 손해보험업계, 보험개발원, 소비자단체, 국토교통부 등은 국회에서 수입차 보험 합리화 방안을 놓고 공청회를 진행한다.

수입차에 대한 과도한 보험금 지급에 따른 경제적 부담, 국산차와 수입차 간 불합리한 보험료 산정 기준 등에 따른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가 수입차 보험료 체계 '손 보기'에 나선 것이다.

실제로 상대적으로 수리비가 비싼 고가 수입차 판매 증가로 보험사들의 손해율이 늘자 보험업계는 최근 잇달아 보험료 인상안을 발표했다.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다음 달부터 평균 8.8% 올리고 오는 11월부터는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도 올린다.

흥국화재는 지난 1일부터 업무용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4.3% 인상했고, 다음 달 1일부터는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5.9%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한동안 보험료 인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던 보험 업계가 잇달아 인상안을 내놓자 정부 역시 자동차보험료 인상 요인 해소에 나섰다.

우선 수입차의 보험료 고가 산정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돼 온 대체 차량 렌트비와 수리비용에 대한 산정방식을 대대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금융 당국은 사고 대상 수입차의 연식을 고려해 감가상각을 적용해 실제 차량 시가에 준하는 대체 차량을 렌트해주는 방식으로 수정한다는 계획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똑같은 과실로 자동차 사고가 발생해도 상대적으로 비싼 수입차의 수리비와 렌트비용 탓에 애꿎은 국산차 차주의 부담액이 더 커지는 등 불균형 구조에 따른 문제점은 이미 수년째 끊이지 않고 제기돼 왔다"며 "자동차 보험금은 서민 생활과 밀접한 문제인 만큼 보험업계가 보험료 인상에 나선 이상 수입차에 대한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팩트 | 서재근 기자 likehyo85@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