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기획/현장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자본 vs 부채’ 두산인프라코어 영구채, 사실상 돌려막기?
입력: 2012.11.28 10:41 / 수정: 2012.11.28 10:41

두산인프라코어가 발행한 하이브리드 채권이 자본이냐 부채냐의 갈림길에 섰다.
두산인프라코어가 발행한 하이브리드 채권이 자본이냐 부채냐의 갈림길에 섰다.


[황진희 기자] 신종자본증권 ‘영구채(하이브리드채권)’를 두고 자본으로 볼 것인가 부채로 볼 것인가에 대한 금융권의 의견이 상반된 가운데, 하이브리드 채권을 발행한 두산인프라코어는 여전히 감당하기 어려운 부채에 허덕이고 있다.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조달과 재무구조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던 두산인프라코어는 ‘자본이냐 부채냐’의 갈림길에 서 있는 상황이다.

◆ 하이브리드채권 발행, 왜?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 9월 KDB산업은행, JP모건, 씨티은행을 주간사로 5억달러(약 5500억원) 규모의 하이브리드 채권을 발행했다. 당시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금융회사가 아닌 국내 일반기업 중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채권을 발행한 것은 재무 혁신이자 새로운 도전”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에 대해 “내실을 다지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그룹을 장기간 압박했던 ‘밥캣 리스크’에서 벗어나기 위한 셈법이었다.

두산은 2007년 미국의 건설장비 업체 밥캣(현 두산인프라코어인터내셔널, DII)을 인수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당시 두산그룹 전체가 조달한 자금은 51억달러로, 주체별로는 두산인프라코어 본사가 투자한 금액이 7억달러, DII가 자체 조달한 자금이 29억달러였다. 이와 함께 미래에셋, 한국투자증권, 신영증권, 동양증권 등 4개 기관의 재무적 투자자(FI)로부터는 8억9000만달러를 조달했다.

이 재무적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금리로 빌린 8억9000만달러 규모의 상환우선주와 높은 이자비용이 문제였다. 4개 기관이 모두 풋옵션을 행사한다고 가정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가 상환해야 할 금액은 원금과 이자를 합해 모두 12억3400만달러에 달한다. 두산은 이들 중 절반 정도가 풋옵션을 행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략 6억~7억달러 규모의 상환자금이 필요하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이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보유부채에 대한 리파이낸싱(refinancing, 재융자)을 진행했다. 지난해 11월 DII인수 당시 조달했던 23억달러 부채의 차입조건과 만기를 조정하는 1차 리파이낸싱을 하면서 상환시기를 2015~2017년으로 연장했다. 이어 5억달러 규모의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포함한 2차 리파이낸싱을 진행했다. 일종의 '돌려막기' 차환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회계상 부채규모를 줄이기 위한 방편이었다.

◆ 하이브리드 채권, 자본이냐 부채냐

그러나 금융위원회는 두산인프라코어의 하이브리드 채권에 대해 자본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말 그대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결합’으로, 부채이자 자본이 결합한 신종자본증권이다. 회계의 두 기둥이자 정반대의 지표인 부채와 자본의 결합한 형태다.

통상적으로 하이브리드 채권은 만기 없이 영구채의 형태로 발행되기 때문에 회계상 자본으로 평가받는다. 만기에 원금을 상환해야만 하는 일반 채권의 성격 없이 이자만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산인프라코어의 하이브리드 채권은 ‘후순위 특약’이 없고, ‘조기 상환의 부담’이 크다는 점이 자본으로 인정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했다. 후순위 특약이 없다면 파산 시 채무 지급 순위가 자본보다 앞서기 때문에 부채라고 볼 수 있다.

또 두산인프라코어가 발행한 하이브리드 채권은 5년 안에 원금을 상환하지 않으면 연 5%의 금리가 추가되고 7년이 지나면 다시 연 2%의 가산금리가 더해지는 스텝업(step up, 금리상향) 조항이 들어있어, 5년 후 두산인프라코어가 사실상 콜옵션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인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채권이라는 이름은 유명무실할 뿐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회계기준원, 자본시장연구원 등은 두산인프라코어의 하이브리드 채권을 자본으로 볼 것이냐 부채로 볼 것이냐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금융위원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자본보다는 부채에 가깝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금융감독원은 두산인프라코어가 채권 발행을 위해 유권해석을 문의할 당시 자본으로 볼 수 있다고 답했다. 회계기준원은 마땅한 기준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높은 부채에 부채폭탄 더할까?

현재 두산인프라코어는 높은 부채비율에 허덕이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올해 상반기 말 연결기준 부채총액 9조6747억원, 자본총액 2조5625억원으로 377%에 달하는 높은 부채비율을 가지고 있다. 밥캣 인수 등을 통해 차입금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발행한 하이브리드 채권이 만약 회계상 자본으로 평가된다면 부채비율을 낮추고 자기자본비율이 상승해 안정성 지표가 그나마 호전된다. 5억달러 규모의 하이브리드 채권을 자산으로 단순 계산할 경우 부채비율은 310%로 떨어질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부채로 잡힐 경우를 단순 계산하면 부채비율은 400% 가까이 치솟아 90%p나 차이가 난다. 금융권에서 하이브리드 채권을 부채로 평가할 경우, 부채폭탄을 맞게 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증권업계는 두산인프라코어가 매년 3000억원에 육박하는 이자비용을 지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2011년 기준 두산인프라코어의 연간 순이자비용은 3201억원으로, 매출의 3.8%, 영업이익의 45%를 차지한다. 2013년의 이자비용을 연간 예상 매출의 3.2%, 예상 영업이익의 52% 수준이 될 것으로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두산인프라코어 측은 “하이브리드 채권이 부채로 인정된다하더라도 부채비율은 늘어나지 않는다. 이자비용 부담도 확 줄어든다”면서 “하이브리드 채권이 자본이냐 부채냐의 논란은 문제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jini8498@tf.co.kr
비즈포커스 bizfocu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