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유영림 인턴기자]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13년 검찰 여주지청장 당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법사위) 서을고등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증인 자격으로 한 발언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검사 시절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습니다. 그는 2013년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수사 당시 국정감사에 출석해 윗선의 부당한 수사 지휘가 있었다는 폭로성 주장을 하며 위와 같이 말했습니다.
이 발언은 13년이 지난 2025년 4월 21일 다시 화두에 올랐습니다.
김형기 육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중령)은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사건 재판에 증인으로 참석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증인신문을 마치기 전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며 운을 띄웠습니다.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그는 병사 입대부터 장교 임관까지 자신의 군 생활 이력을 언급한 뒤 "제가 마흔셋인데 군 생활을 23년 했다. 안 바뀌는 게 '국가, 국민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대대장은 '전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조직에 충성하고 조직은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고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직속상관에게서 '윤 대통령의 지시다.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들은 바 있다고 재차 증언했습니다.
줄곧 눈을 감은 채로 있던 윤 전 대통령은 김 대대장이 자신을 대표하는 문구를 말하자 발언이 마무리될 때쯤 그를 응시하기도 했습니다.
김형기 대대장은 지난 14일 검찰의 주신문에서 "계엄 당시 직속 계엄 당시 직속상관인 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으로부터 담을 넘어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그러나 정당한 지시인지에 관한 판단과 불분명한 상황 파악으로 자신이 하달받은 임무를 부하들에게 내려주지 않았다"고 증언했습니다.
그는 이날 "누군가는 저에게 항명이라고 했다. 저희 조직은 철저하게 상명하복을 기본으로 운영되는 조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상급자 명령에 복종하는 건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는 임무를 부여했을 때 국한된다"고 강조했습니다.
"12월 4일에 받은 임무를 어떻게 수행하겠냐"고 주장한 김 대대장은 "저는 조직에 충성하겠다. 차라리 저를 항명죄로 처벌해달라"고 덧붙였습니다.
김 대대장은 "제 부하들은 아무것도 안 했고 그 덕분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 덕분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덕분에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었다"며 당시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군이 다시는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게 제 뒤에 계신 분들(취재진)이 날카롭에 비난하고 질책하며 감시해달라"고 말한 김 대대장은 "그래야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이며 발언을 마무리했습니다.
forest@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