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집값 상승세에...'마용성'까지 번지는 '집값 불길' [TF사진관]
  • 서예원 기자
  • 입력: 2025.06.18 17:23 / 수정: 2025.06.18 17:23
18일 오후 서울 성동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아파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서예원 기자
18일 오후 서울 성동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아파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서예원 기자

[더팩트ㅣ서예원 기자] 18일 오후 서울 성동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아파트 매물 안내문이 붙어 있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확대 지정 이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확대되더니 성동과 마포, 용산 등을 중심으로 토허구역으로 묶이지 않는 지역에서 '풍선효과'도 격화되는 분위기다.

지난 13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기준 최근 3개월간 매매가격 상승률이 1%를 넘는 지역은 서울·경기에서 모두 14개 지역이다.

경기 과천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이 4.6%로 가장 높았으며 강남(3.83%), 서초(3.49%), 송파(3.45%)가 뒤를 이었다. 이어 성동(2.86%), 마포(2.30%), 용산(2.16%)이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들 지역은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 가능성이 거론된다. 정부는 조정대상지역 지정의 필수 요건으로 '최근 3개월간 주택가격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의 1.3배 이상이어야 한다'는 항목을 두고 있다.

지난 11일 서울시의회 정례회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성동구와 마포구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급등하는 현상과 관련해 "성동구 집값이 조금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어 상황을 예의주의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비상 상황 시 토허구역 지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게다가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대출 막차' 수요가 몰리면서 집값을 함께 자극하고 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가급적 집값 규제를 하지 않을 방침을 밝힌 가운데, 부동산 정책을 언제 어느 정도로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yennie@tf.co.kr
사진영상기획부 photo@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