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김형중 기자] 세종시와 5개 지역 대학이 맞춤형 혁신 인재 양성 비전을 공유하며 본격적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세종시는 12일 고려대 세종캠퍼스에서 '2025 세종 RISE 출범식'을 열었다.
세종 RISE 사업은 시와 지역 대학의 교육 지원 협력으로 5+1 미래전략산업 중장기 육성 전략을 연계, 혁신 인재 양성과 양질의 일자리 마련을 목표로 한다.
이날 출범식에는 김하균 세종시 행정부시장과 안신일 세종시의회 의원, RISE 사업 참여 대학 총장 및 부총장, 유관 기업 및 연구소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세종 RISE의 비전과 목표를 담은 7대 핵심 키워드로 꾸며진 손팻말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지역 혁신 모델의 성공을 다짐했다.
특히 세종시를 대한민국 미래전략수도로 발전시키기 위해 대학 간 벽을 허무는 '한두리 캠퍼스'를 중심으로 5+1 미래전략산업 맞춤형 인재를 적극 양성하는 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한두리 캠퍼스는 각 지역 대학 특성화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 기관과 함께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세종 RISE 사업의 핵심 교육 모델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중앙라이즈센터 성과평가분과 위원장인 박철우 한국공학대 교수가 '성공적인 라이즈 추진 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특강을 펼쳤다.
박철우 교수는 "중장기적으로 지역 고등교육 정책이 합리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표로 추진해야 한다"며 "RISE 사업의 혁신 주체들이 지역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5개 지역 대학은 세종 RISE의 추진 경과와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대표 과제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고려대는 한두리 캠퍼스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미래모빌리티와 정보보호, 양자 분야 산업 주도대학으로서 관련 혁신 인재를 집중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홍익대는 국제연수원 혁신 클러스터를 거점으로 기업 육성 생태계를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육성하고, 한국영상대는 방송·영상·미디어 기반 창의적 콘텐츠 중심의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
국립한밭대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융합캠퍼스를 기반으로 한 지역 혁신을, 충북대는 디지털 바이오·동물의료 분야 헬스케어 산업과 지역 문화 활성화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앞으로 시와 지역 대학은 시정 현안과 대학별 목표 등을 연계해 실효성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김하균 세종시 행정부시장은 "세종 RISE 사업은 교육과 산업, 정책이 하나의 흐름으로 엮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미래전략산업을 이끄는 혁신 인재 양성과 함께 지역이 중심이 되는 창조적 교육 생태계 구축 실현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