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가 민생안정과 지역상권 실질적 활성화를 위해 올해 광명사랑화폐(지역화폐) 목표 발행액을 5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광명형 통합 온라인 플랫폼인 '광명상생플랫폼'을 구축해 소상공인의 온라인 시장 경쟁력을 지원한다.
홍명희 광명시 경제문화국장은 12일 시청에서 '민생경제 및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 설명 브리핑을 열어 이같이 밝히고 "지속되는 경제 위기 속에 경제적 약자인 소상공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 사람이 머물고 상권이 살아나는 민생경제 도시 조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우선 정부의 지역화폐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광명사랑화폐의 2025년 목표 발행액을 당초 1200억 원에서 5000억 원으로 4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7월부터 인센티브 구매 한도를 기존 30만 원에서 70만 원으로 상향했으며, 추석 명절이 있는 10월에는 인센티브 추가 확대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인센티브 할인율도 연중 10%로 유지해 지역화폐 발행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광명형 통합 온라인 플랫폼인 '광명상생플랫폼'은 업체 73개소를 선정해 맞춤형 온라인 마케팅, 콘텐츠 제작, 유통 채널 연계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입점 개소당 250만 원 상당의 콘텐츠 제작비 지원 및 분야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플랫폼은 단순 입점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매출 확대와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내실을 다져 내년 1월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한다.
선정된 기업이 아니더라도 자체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온라인 채널을 보유한 모든 관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플랫폼에 상시 입점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광명시는 지난 1월 민생안정지원금으로 모든 시민에게 광명사랑화폐를 10만 원씩 지급해 정국 불안과 경기 침체로 위축된 민생경제 회복을 실천한 바 있다. 약 26만 명이 신청해 93.4%의 지급률을 기록했고, 지급액 중 약 98.9%가 사용되며 민생회복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이후 정부가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결정하자, 시는 민생안정지원금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 전담팀(TF팀) 구성, 전담콜센터 운영 등 신속한 지급 체계를 마련했다.
그 결과, '경기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일일상황보고(8월 10일 오후 6시 기준)'에 따르면 지급 대상 28만 1674명 중 27만 1566명이 지급받으며 약 96.4%의 지급률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소비쿠폰이 지역화폐로 지급된 비율도 54%로, 타 시군과 비교해 월등히 높아 지역화폐가 지역 경제에 일상 결제 수단으로 정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시가 지역 자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내 골목상권 소비를 촉진하는 광명사랑화폐를 지역경제 활성화의 중요 수단으로 판단하고 지속적인 활성화 정책을 펼친 결과다.
시는 2020년부터 충전 인센티브 할인율을 연중 10%로 유지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2025년 7월까지 누적 발행액 약 8250억 원을 달성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가입자 수는 2025년 7월 기준 27만 3515명으로, 광명시 인구 28만 9030명 대비 가입률은 약 94.6%에 이른다.
광명시는 앞으로도 지역 상권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상권 간 연계를 강화해 사람들이 오래 머물며 지속적으로 활력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구조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