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팩트ㅣ고양=양규원 기자] 미세먼지 없는 도시를 향한 고양특례시 도전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24년 경기 고양시 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8년 중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미세먼지 없는 도시'를 향한 시의 다양한 대기정책이 실효성을 보이고 있는 것.
8일 시에 따르면 경기도 대기오염정보센터 통계 상으로 지난해 시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34㎍/㎥로, 초미세먼지(PM-2.5)도 18㎍/㎥를 나타내는 등 지난 2017년 대비 각각 38%, 35% 감소했다.
시에선 특히 지난 3년간 노후경유차 1만 3000여 대가 연간 배출하는 수준인 약 143.74t의 미세먼지가 줄어들었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예산 166억 원을 투입해 노후경유차 5208대의 조기 폐차를 지원했고 저감장치 부착 보조(90%)와 건설기계 엔진 교체, 화물차·지게차의 전동화 개조 비용도 적극 지원했다.
아울러 최근 3년간 시는 전기·수소차 총 9442대에 대한 구입을 지원했다. 올 하반기에도 3480대에 대해 추가 지원을 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2022년 기준 시 초미세먼지 배출량 중 수송부문이 차지한 비중은 48%에 달한다는 통계에 근거한 정책들이다.
시는 이와 함께 지난 2022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도시숲·포켓숲 53개 소를 조성, 45만 5679㎡ 녹지를 확보했다. 올 하반기에는 저현고 학교숲, 소만초교 일원 가로화단 등 총 10개 소에 녹지 23만 57㎡를 추가 확충할 계획을 세우는 등 녹지 확충에도 힘을 쏟았다.
시는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143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자유로·제2자유로 경사면과 장항야구장 등 공공부지에도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특히 오는 10월까지 JDS지구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추진전략을 마련 중이다. 전국 최초 '공유형 ESS 실증사업' 협약을 통해 어울림누리와 지영동 유휴부지에 각각 1㎽, 4㎽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의 대기질 개선 정책은 도시가 품은 가치를 높이는 지속 가능한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시민 체감형 정책과 미래지향적 에너지전환이 유기적으로 맞물리며 시가 ‘숨쉬기 좋은 도시’의 표준 모델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동환 시장은 "깨끗한 공기는 시민 일상과 삶의 질에 밀접하게 연관된 도시의 자원"이라며 "맑은 공기는 긴 시간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만들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지속 노력해 아이들에게 쾌적한 대기환경을 물려주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