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아산=정효기 기자] 정부가 6일 충남 아산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지난 7월 중순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주택과 농경지 침수, 공공시설 파손 등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한 데 따른 조치다.
아산시는 지난달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평균 388.8mm의 폭우가 쏟아졌다. 피해액은 40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지방재정만으로는 복구가 어렵다고 판단해 충남도와 함께 피해 직후부터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이번 지정으로 피해 주민들에게는 재난지원금이 지급된다. 전파 주택에는 최대 3950만 원, 반파 주택에는 2000만 원, 침수 주택에는 350만 원까지 지원된다. 임차 세대는 보증금과 임대료의 최대 8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 농경지와 축사, 농림시설 피해에 대해서도 복구비가 확대된다. 공공시설 복구비는 최대 70%까지 국비로 충당돼 시 재정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건강보험료, 통신요금, 전기·가스요금 감면 등 총 37개 항목의 생활 안정 지원도 함께 추진된다.
국비 지원에 더해 충남도와 아산시는 실질적인 피해 회복을 위해 특별지원금 9억 8000만 원을 추가 편성했다. 이에 따라 전파 주택은 최대 8050만 원, 반파 주택은 4000만 원, 침수 주택은 250만 원까지 보완 지원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아산시는 국비 확정 전부터 '선 조치 후 정산' 원칙을 세우고, 재난지원기금 13억 2000만 원과 특별지원금 9억 9000만 원 등 총 23억 1000만 원을 선제 집행해 조기 복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복구 작업은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아산시는 이재민 372명의 일상 복귀를 위해 전 공직자, 군부대, 자원봉사자 등 4500여 명을 현장에 투입해 물청소, 도배·장판 교체, 전력·보일러 복구, 식사 지원 등을 진행 중이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으로 국고 지원에 속도가 붙으면서 복구 작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시는 추가 피해 조사 결과를 반영해 복구계획을 보완하고, 재해위험지역 개선 등 중장기 예방 대책 마련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오세현 아산시장은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며 "이번 지정은 피해 시민의 일상 회복을 앞당길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신속한 복구와 재해 예방 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