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부산=박호경 기자] 전국적으로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범죄 신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부산에서는 부산시 공무원 명함까지 위조한 사기꾼에 속은 피해가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부산 사상경찰서는 최근 공무원 사칭 사기 범죄에 대해 부산시가 수사를 의뢰해 조사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최근 두 차례에 걸쳐 시 총무과로 '김지수'라는 사람의 공무원 신분을 확인하려는 민원 전화가 걸려왔다.
시에 확인 전화를 건 민원인은 부산 사상구에서 가구판매업을 하는 A 씨로, '김지수'라는 사람으로부터 제세동기 대리 구매 요청을 받고 2400만 원을 송금한 피해자였다.
부산시 공무원을 사칭한 사기꾼은 전화로 A 씨에게 연락해 사무용 가구를 구매하려고 한다며 만날 약속까지 잡았다.
약속 당일 오전 A 씨에게 다시 연락한 사기꾼은 "사무가구 외에 제세동기도 필요한데 대신해서 구매해주면 돈을 주겠다"며 대금 이체를 유도했다.
A 씨는 '부산시 공무원 김지수'라고 적힌 명함을 사진으로 전송받았기에 사기꾼의 말을 믿고 돈을 보냈으나 이후 연락이 두절됐다.
뒤늦게 부산시에 확인한 결과 해당 직원을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고 사기라는 것을 알게 된 A 씨는 관할 경찰서에 신고했다.
이번 일 외에도 최근 부산 전역에서 공무원을 사칭한 범죄가 이어지고 있다.
이달 초 수영구 관내 음식점 7곳에 행정복지센터 공무원을 사칭한 사람이 대규모 회식 예약을 한 뒤, 다시 전화를 걸어 가짜 와인 업체 번호를 주며 특정 와인의 대금 결제를 유도하는 사기를 시도했다.
다행히 이를 수상하게 여긴 음식점 주인이 구청에 확인 전화를 걸면서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고 수영구는 공무원을 사칭하는 범죄를 주의하라는 내용의 안전재난문자까지 발송했다.
이달 강서구청에서 실제 근무하는 공무원 이름을 도용한 한 남성이 소상공인에게 접근해 1000만 원 규모의 납품을 의뢰하는 사건도 발생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공무원 등 신분을 보여주며 고급주류, 특수물품에 대한 구매대행 요청이 있을 때 반드시 해당 기관에 연락해 확인하는 등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bsnews@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