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이승호 기자] 국내 대표 디지털 플랫폼 기업 카카오가 경기 남양주 왕숙지구에 6000억 원 규모의 'AI 기반 디지털 허브'를 짓는다.
경기도는 '투자유치 100조+ 사업'의 하나로 카카오의 디지털 허브를 유치하면서 첨단산업 기반이 약한 경기북부에 신성장 산업 생태계 구축은 물론 경기북부 대개조 사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3일 수원 광교 도청사에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과 이런 내용을 담은 'AI 기반 디지털 허브 건립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남양주 왕숙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약 3만 4000㎡에 6000억 원을 들여 AI 기반 디지털 허브를 건립한다.
카카오는 2029년 준공을 목표로 내년에 착공할 예정이다.
경기도와 남양주시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부지 확보, 인허가 등의 행정 지원에 나서고, LH는 도시첨단산단 조성과 부지 공급을 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다보스 포럼에 2년 동안 초청받아 참석했다. 그때마다 큰 주제 가운데 하나가 기술 진보에 대한 것이었는데 핵심은 AI"라며 "파주부터 남양주에 이르는 AI 문화산업벨트를 계획하고 있다. 카카오가 AI 기반 허브를 짓기로 해 화룡점정의 좋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최대한 빨리 절차를 밟을 수 있게 하겠다"며 "이 투자로 북부 대개조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에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카카오의 목표"라며 "카카오 디지털 허브는 AI 대중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남양주 지역 발전과 상생을 위한 협력도 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수도권 규제와 역차별로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경기북부 지역에 국내 대표 디지털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경기북부가 AI 산업의 핵심 거점 도시로 성장하고, 데이터·AI 기반의 산업 생태계 구축과 첨단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균형발전에도 이바지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앞서 도는 카카오가 디지털 허브 구축을 위해 부지를 찾는다는 소식을 듣고 유치전에 나섰다. 민선8기 도가 추진 중인 '투자유치 100조+ 전략'과 경기북부 대개조 사업에 적격이라고 판단해 지난해 9월 2일 카카오와 첫 투자 상담을 한 뒤 곧바로 일주일만인 같은 해 9월 9일 남양주시, 카카오와 함께 왕숙지구에서 투자 팸투어를 진행했다.
도와 남양주시는 올해 2월 5일 카카오 디지털 허브 유치를 위한 전략합동회의를 통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 마침내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남양주 왕숙 공공주택지구는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퇴계원읍, 일패동, 이패동 일대 1029만 ㎡(약 311만 평)에 들어선다. 이곳은 2019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됐으며, 2028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2023년 6월 첫삽을 떴다.
도는 도시 자족 기능 확보를 위해 내년에 지구 안 120만 ㎡(약 36만 평)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할 계획이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