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신공항 건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장기 표류 가능성↑
  • 박병선 기자
  • 입력: 2025.06.12 17:52 / 수정: 2025.06.12 17:52
민주당 인사들, 대구시 추진 방식에 부정적 의견 쏟아져
정부의 재정 지원 약속 없어 장기 표류할 듯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감도. / 대구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감도. / 대구시

[더팩트┃대구=박병선 기자] 여권 인사들이 이재명 정부 출범 전후로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하 TK신공항) 건설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잇따라 내놓아 가장 큰 걸림돌인 재원 마련 문제가 갈수록 불투명해지고 있다.

12일 대구시에 따르면 2030년 개항 목표로 대구 군위군 소보면과 경북 의성군 비안면에 추진 중인 TK신공항 착공을 위해 정부에 11조 5000억 원의 공공자금관리기금(이하 공자기금) 지원을 요청해 놓았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답변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더해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은 공자기금을 활용한 대구시의 추진 방식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거나 TK신공항 전면 재검토, 민간공항 존치·군공항 이전 등 대안을 제시하는 등 대구시의 추진 방식에 반대의견을 쏟아내고 있다.

먼저, 이 대통령의 대구경북 공약을 살펴봐도 TK신공항 건설은 상당히 애매모호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TK신공항 추진’은 지역 공약 6개 중 다섯번 째에 나와 있으나 ‘사업추진 지연 요소 조속히 해결’이라는 추상적 문구만 붙어 있을 뿐,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TK신공항 공약은 대구경북에서 가장 중요한 현안이긴 하지만, 민주당 차원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만 바라는 대구시의 기존 방식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는 뜻"이라면서 "정부 구성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여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여론조사, 공청회 등을 통해 건설 여부 및 추진 방식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또 허소 민주당 대구시당 위원장은 "당장 TK신공항 건설을 하기보다는 정부 차원에서 남부권 신공항이 어디에 어떻게 필요한 지 검토한 후 결정되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민주당 인사들은 대선 선거운동 기간 중에도 대구시의 추진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해법을 내놓으면서 사실상 정부의 재정 지원이 어렵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달 22일 대구경북 중견언론인 모임인 아시아포럼21 주최의 정책토론회에서 "TK신공항의 재원 마련을 위해서는 K2 후적지에 신산업을 유치해 토지개발 사업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면 어떨까 싶다"고 제안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달 30일 대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구시가 (신공항 건설을) 중앙정부에 떠미는 것은 안 된다"면서 "대구시가 주장한 방식이 어디서 막혀 있는지 시민들에게 솔직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가까운 한 민주당 인사는 "개인적으로 과거에 논의되던 민간공항 존치·군공항 이전 해법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이에 동의하는 시도민들이 많다"면서 TK신공항 무용론을 주장했다.

반면 대구시는 군공항이전특별법의 ‘기부대양여’ 방식에 따라 공자기금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보고, 정부의 내년도 재정계획이 수립되는 8월말 혹은 올해 말까지 정부에 대한 설득작업을 계속하는 등 희망을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지역 사정을 잘 아는 한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정권 때에도 공자기금을 확보하지 못했는데, 이재명 정권에서는 더욱 어려울 것"이라면서 "민주당 내부에서 원점 재검토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대구시가 자체적인 재원 마련이 불가능하다면 TK신공항 건설은 장기 표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t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