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조리량 2배 늘고 채소류 급감"…교육단체들, 자율선택급식 폐지 촉구
  • 조수현 기자
  • 입력: 2025.05.12 16:58 / 수정: 2025.05.12 16:58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경기지부, 친환경학교급식 경기운동본부 등 6개 단체가 12일 도교육청 남부청사 앞에서 경기도교육청 자율선택급식 정책 중단 및 학교급식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전교조 경기지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경기지부, 친환경학교급식 경기운동본부 등 6개 단체가 12일 도교육청 남부청사 앞에서 '경기도교육청 자율선택급식 정책 중단 및 학교급식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전교조 경기지부

[더팩트ㅣ수원=조수현 기자] 경기지역 교육사회단체가 자율선택급식 확대 중단을 경기도교육청에 촉구하고 나섰다. 학생들의 편식 행동을 조장하고 급식노동자들의 과로를 초래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경기지부, 친환경학교급식 경기운동본부 등 6개 단체는 12일 도교육청 남부청사 앞에서 '경기도교육청 자율선택급식 정책 중단 및 학교급식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요구했다.

단체들은 회견문에서 △자율선택급식 정책 즉각 중단 △편식 조장·음식물 쓰레기 증가·친환경 급식 후퇴 등 실책 인정 △조리노동자 열악한 근무환경·인력난 해소 대책 수립 △학교급식 정책 전반 재검토 등을 촉구했다.

이재민 전교조 경기지부장은 "자율선택급식 시행 뒤 학생들이 선호하는 고기류의 조리량은 2배가량 증가했고, 채소와 과일 등은 외면당하고 있다"며 "이를 시행하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 간 예산 차이가 발생해 교육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정희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경기지부 수석부위원장은 "급식실 노동자 1명이 감당하는 식수인원은 120명 정도인데, 자율선택급식으로 메뉴를 늘리면서 준비 시간은 1.5배 이상, 설거지량은 2배 이상 늘었다"고 하소연했다.

하 위원장은 "자율선택급식을 하고 있는 학교 급식실마다 '이건 사람이 할 짓이 아니야'라고 울부짖고 있다"고도 했다.

단체들은 도교육청이 자율선택급식을 중단하지 않으면 다른 단체들과도 연합해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예고했다.

도교육청은 임태희 교육감 취임 이후인 지난 2022년 말부터 자율선택급식을 도입해 추진 중이다.

자율배식과 주 2~3회 선택식단 제공, 샐러드바 운영 등을 통해 급식 선택권을 보장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지난 2022년도 10개교를 시작으로 2023년 70개교, 지난해 250개교가 시범 운영했고 올해는 527개교로 확대됐다.

도교육청은 자율선택급식 확대를 위해 참여 학교에 1개교 당 800만~1500만 원씩 올해에만 총 3억 9500여만 원을 지원한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