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정국 속에서 올 들어 무려 3차례나 해외출장에 나서 교육관련 단체들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대통령이 부재하고 정부의 고등학교 무상교육비 삭감, 고교학점제 파행 논란, 인공지능(AI) 교과서 도입 혼선 등으로 교육계가 어수선한 상황에서 임 교육감의 잦은 외유에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24일 <더팩트> 취재를 종합하면 임 교육감은 지난 21일 카자흐스탄으로 출국했다. 6일간 카자흐스탄에 머물며 현지 교육부, 고려인협회 관계자 등을 만나고 알마티 한국교육원, 아바이 사범대학, 아스타나 제31번 김나지움, 유라시아 국립대학교 등을 방문하기 위해서다.
임 교육감은 앞서 지난 2~3월에 걸쳐 2차례 미국과 캐나다 등지를 방문했다. 특강과 지역 교육청 단위의 협약 등이 주요 일정이었다.
임 교육감은 2월 25일부터 3박 5일 일정으로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과 벨몬트를 찾았다. 그는 당시 하버드대 교수와 학생 150여 명에게 '한국의 교육개혁: 학생 맞춤형 교육과 인공지능의 역할'을 주제로 특강했다.
임 교육감은 이 출장 때문에 지난달 1일 수원컨벤션센터에 열린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에도 불참했다.
경기도교육감이 외유에 나서 3·1절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그는 같은 달 4~10일에도 3800여만 원을 들여 공무원 등을 이끌고 미국 등을 찾았다. 이 기간 워싱턴주와 캐나다 밴쿠버를 방문해 성남교육지원청과 워싱턴주교육청 간 협약식 등을 참관했다.
임 교육감의 3차례 외유에는 도교육청 공무원 등도 동행해 경비만 1억여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두고 교육시민·사회단체 일각의 시선은 곱지 않다.
외유보다는 고교무상교육 국비지원 중단,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혼란, 고교학점제 시행 부작용 등 교육현장의 산적한 현안을 해결하려는 모습부터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고교무상교육 재원을 정부가 47.5% 부담하는 내용의 ‘고등학교 등의 무상교육 경비 부담에 관한 특례’는 지난해 말 일몰됐다.
특례를 3년 더 연장하는 개정안도 정부의 거부권 행사에 이은 국회 재표결 부결로 지난 17일 자동 폐기됐다.
도교육청은 내년부터 정부가 지원하던 연간 3000억 원대 고교무상교육비를 오롯이 매워야할 판이다.
임 교육감이 밀어붙이던 AI 디지털교과서는 도내 채택률이 40% 대에 불과하고, 고교 1학년부터 전면 도입된 고교학점제 역시 교사들의 출결 업무만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등 폐지 요구가 크다.
구희현 친환경학교급식 경기도운동본부 상임대표는 "고교학점제 파행에 더해 고교무상교육 등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세금을 써가며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현장에서는 내실 있게 우리 아이들을 챙기는 교육감에 목말라한다"며 "임 교육감은 교육부장관이 아니라 경기도교육감"이라고도 했다.
임 교육감은 도교육청 보도자료를 통해 "세계 교육을 선도하는 경기 교육이라는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국제 교류를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