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가 '기후주간' 운영과 자가소비형 신재생에너지 설치비 지원 등을 통해 시민과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 광명'을 추진한다.
문광호 광명시 기획조정실장은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광명시는 단기적인 탄소중립 실적에 집중하기보다는 시민과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시민 중심의 기후적응사회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적응사회는 기후 위기를 환경 문제로 국한하지 않고, 정책·경제·교육·복지·도시계획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의미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탄소중립은 가장 시급한 과제로, 시민 참여 없이는 절대 이뤄낼 수 없다"며 "시민이 정책 수요자를 넘어 '정책 생산자이자 동반자'로 탄소중립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실천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광명시 사회 모든 영역에서 기후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회복력을 가진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올해 '광명시 기후주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기후회의와 탄소중립 국제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을 살려 기후주간을 탄소중립의 중요성 홍보와 실천을 유도하는 운동으로 한층 더 발전시킬 예정이다.
기후주간은 △기후회의와 포럼을 중심으로 한 정책 부문 △우수사례 공유회와 영상 공모전 등 시민 참여 및 콘텐츠 부문 △기후뮤지컬, 기후영화제 등 문화 프로그램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올해 총 10억 원 규모 '신재생에너지 보급 융복합 지원사업'으로 공공시설과 상업·주거시설의 자가소비형 신재생에너지 설치비를 지원한다. 태양광 55개소(총 447kW), 태양열 3개소(총 36㎡), 지열 1개소(17.5kW) 설치가 목표다.
또한, 에너지 사용과 자원 소비가 밀집된 공간인 공동주택에서 탄소중립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기후대응 실천 우수아파트'를 선정한다. 관내 91개 단지 중 사업 신청 단지의 기후 실천을 정량·정성 평가해 6개 우수아파트 단지를 선정하고 최대 700만 원 포상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광명시는 그간 지속적으로 '시민 중심 탄소중립 정책' 실현을 위한 조직 정비와 조례 제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왔다.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시민참여 모델 구축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21년 9월 150명으로 시작해 지난해 9월 참여자 1만 명을 돌파한 '1.5℃ 기후의병'은 광명시의 대표적인 시민 주도 탄소중립 실천 정책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1만 2909명의 기후의병이 탄소중립 실천 문화를 널리 확산하고 있다.
광명시는 기후의병의 일상 탄소중립 실천을 온실가스 감축 총량으로 수치화하면 지난 3월 말까지 누적 8만 3천586kg를 감축했다. 시는 기후의병의 구성과 역할 등을 명시한 '1.5℃ 기후의병 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에 나서 지난 15일 조례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광명시는 또, 탄소중립 주요 정책 중 하나인 에너지 전환에도 시민 참여 체계를 구축했다.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과 광명시민햇빛발전소 업무협약을 체결해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민관협력 체계를 갖췄다.
이 밖에도 '광명형 넷제로 에너지카페'와 '광명비(BEE)에너지학교' 등 다양한 탄소중립 시민교육을 운영하면서 일상에서 탄소중립 실천에 시민 참여를 극대화하고 시민들의 기후행동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