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반사고 예방책 강화…'경기지하안전지킴이' 운영 확대
  • 양규원 기자
  • 입력: 2025.04.17 16:37 / 수정: 2025.04.17 16:37
시·군에는 지하탐사 장비 구입비 보조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더팩트ㅣ양주=양규원 기자] 경기도가 지하시설물 주변 지반 사고 예방을 위해 '경기지하안전지킴이' 운영을 강화한다. 지하시설물 공동조사(GPR탐사)를 할 수 있도록 시·군에 장비도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의 지반침하 특별안전대책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땅꺼짐과 지난 11일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 등 잇따른 지하 안전사고로 도민 불안이 확산하는 데 따른 조치다.

대책에 따르면 도는 전국 최초 시행 중인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제도화 해 지하시설물 주변 지반사고 예방을 강화한다.

지하안전지킴이는 토질·지질·구조 분야 등 전문가 42명이 10m 이상 굴착 현장에서 2인 1조로 안전관리계획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지난 2020년부터 현재까지 도내 지하개발사업장 312곳과 지하시설물 34곳에 도움을 줬다.

도와 도의회는 지난 15일 지하안전지킴이 운영 근거를 담은 '경기도 지하안전 관리 및 유지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의결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도는 '경기도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 운영을 매년 상·하반기 2차례에서 수시 가동하는 체계로 전환한다.

도내 31개 시·군에도 협의체를 구성·운영토록 조치해 지하시설물 공동조사(GPR탐사)를 추진하기로 했다.

탐사 장비를 구입하는 시·군에는 도비도 지원한다. 장비는 지표 깊이에 따라 대당 2억~8억 원가량 소요될 될 것으로 파악됐다.

도는 지난 2023년부터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지하시설물 관련 공공기관, 기업 등 6개 기관과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도내 철도 사업장과 대형 공사장 등에 대한 점검도 확대한다.

외부전문가를 활용한 점검을 지속 실시하고, 공구별 지반함몰 중점관리구역(도로부)을 설정해 특별관리할 방침이다.

지반침하가 주로 발생하는 해빙기와 우기 때는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회 등과 위험구간으로 의심되는 곳을 선제적으로 탐사, 조치할 예정이다.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쇄회로(CCTV) 조사 등을 통해, 예방 조치에 나선다.

도는 2017년부터 1조 5216억 원을 들여 노후 상수관로 1만 7917km와 하수관로 1만 1494km를 개량하는 사업을 단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 밖에 경기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설치, 사회재난에 대한 유형별 자가체크리스트를 개발·보급하고, 안전문화 활동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지하 공사현장 붕괴, 땅꺼짐 현상 등 연이은 사고로 인해 불안해 하는 도민들의 안전을 위해 특별안전대책을 강화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