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서산=이수홍 기자] 충남 태안군이 태안화력발전소 폐지를 앞두고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으로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이달 중 군은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사업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조상호 태안군 미래에너지과장은 16일 군청 브리핑 룸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통해 해상풍력 발전단지 운영·관리 부두 조성 등 새로운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군이 추진 중인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비는 11조 6000억 원 규모이다. 이 사업비를 투입해 태안 앞바다에 1.4GW 규모의 3개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군은 진행 중이다. 3개 풍력발전 단지는 ‘태안풍력발전', '가의해상풍력발전', '서해해상풍력발전' 등으로 이들 업체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사업 허가를 취득했다.
군은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올해 이끌어 낼 방침이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는 지자체가 주도해 40㎿를 초과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설치해 운영하는 구역으로, 단지가 지정 되면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추가 가중치 최대 0.1을 부여받아 해마다 수백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수익금을 수산업 지원 및 주민복지 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 군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효율적 운영 시설이 될 ‘해상풍력 발전단지 운영·관리 부두’를 2029년까지 원북면 태안항에 조성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조상호 군 미래에너지과장은 "태안화력의 단계적 폐지로 복군 이래 최대 위기 상황이 도래한 만큼 새로운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안군은 1989년 8만 5000여 명으로 복군이 된 이후 올해 6만 명 선이 무너졌다. 인구소멸 지역이다. 게다가 올해부터 태안화력 폐쇄에 들어가면 태안군 인구는 3000명이 급감할 전망이다. 태안화력에서 발생하는 연간 세수입 170억 원도 끊길 처지가 됐다.
사면초가 상태에 놓인 군은 위기극복을 위해 해상풍력발전 단지 조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