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로 수원시, 파주시, 의정부시가 선정됐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월까지 경기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변경(안) 수립 연구용역 대상지를 공모, 이같이 결정했다고 16일 밝혔다.
공모에는 수원시, 광명시, 파주시, 양주시, 의정부시 등 5곳이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전문가들의 서류심사와 현장실사 등을 거쳐 광명시와 양주시가 탈락했다.
2곳은 발전 잠재성과 향후 경제자유구역 실현 가능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수원시는 권선구 서수원 일원 3.24㎢에 연구개발(R&D) 기반의 반도체 첨단산업을 유치하겠다는 구상을 냈다.
파주시는 교하동 일원 5.43㎢에 미디어콘텐츠, 디스플레이, 첨단 의료 바이오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수원시와 파주시는 외국인 투자와 첨단 핵심 전략산업 투자 여건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의정부시는 가능동, 금오동 일원 0.98㎢를 미디어 콘텐츠와 인공지능(AI), 바이오메디컬 산업 등이 집적된 첨단산업단지 허브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미군반환공여구역 활용 등 다른 경제자유구역과 차별성이 부각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경기경제청은 3곳을 대상으로 투자 수요에 맞는 면적, 부지 공급 시기 등을 보완하기 위해 상반기 중 개발계획변경(안)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한다.
용역 결과는 최종 신청 지구를 선정하는 기준이 된다.
현재 도내에는 평택포승, 평택현덕, 시흥배곧 총 3곳(5.24㎢)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안산과 고양에서도 추가 지정을 추진 중이나 전국 경제자유구역 전체 면적 271㎢에 비하면 면적이 미미한 수준이다.
최원용 경기경제자유구역청장은 "경기북부지역은 수도권·군사규제 등에 따라 국가정책에서 지속적으로 소외돼 왔는데, 이번을 계기로 경기도 위상에 걸맞은 신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 규제로 입지가 어려운 첨단산업 등 글로벌기업 유치를 위해 경기경제자유구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