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부산=박호경 기자] 최근 부산에서 연이은 땅꺼짐(싱크홀) 사고 발생으로 시민 불안이 늘어나자 부산시가 지반침하와 관련한 안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시는 15일 오후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시민 안전 비상 대책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지난 13, 14일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인근에서 잇달아 발생한 싱크홀 사고에 대한 특별대책이 함께 논의됐다.
사상~하단선 건설 현장 인근에서는 지난 2023년부터 총 14차례에 걸쳐 싱크홀이 발생했다.
이에 시는 지반침하 사고 특별대책으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도로지반침하 특별대책 상설 전담조직(TF)을 만들어 추가 사고를 막기 위한 긴급 조치를 시행하고 싱크홀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 보수·보강을 추진한다.
싱크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지표투과레이더(GPR)와 지반조사(새벽로 일원 교차로 12곳, 2.3㎞ 대상)를 통한 지하공동을 탐사한다.
이와 관련해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기존의 GPR 탐사만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교차로 지하 공동 구간에 대해 집중 보링(시추)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시민들의 통행로와 차량 안전이 직결된만큼 5월 23일까지 시공 보링을 완료하겠다"고 설명했다.
굴착공사 영향권 내의 하수도시설 전수조사는 2단계로 나눠 시급한 지반침하지 최근접지 우수박스, 측구 800m를 4월까지 우선 완료하고 5월 중 잔여 구간 3200m를 조사·점검해 원인을 파악한 후 보수·보강으로 지반침하 재발을 막는다.
또한 감전2중천과 감전천 유입부의 통수단면을 확보하기 위한 긴급 준설을 8월까지 완료해 침수로 인한 지반 약화 등 피해를 예방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이날 대책회의에서 급경사지·산사태, 화재 취약시설, 하천·지하차도, 산업현장, 산불 등 9대 분야 사고 예방 대책도 마련했다.
집중호우와 불안정한 지형으로 인해 산사태 우려가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인공지능(AI) 기반 드론·지능형 기둥(스마트폴)·센서 등을 활용해 상시 모니터링을 하고 현장 예방단 인원을 2배로 늘린다.
고령자 밀집 시설이나 전통시장, 쪽방촌 등 화재취약시설에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과 스프링쿨러 설치를 확대한다.
폭우로 인한 침수와 고립사고를 대비해 하천 진출입 차단시설을 조기에 설치하고 지하차도 비상 대피시설도 내년까지 35곳에 전부 설치를 완료한다.
산불 예방을 위해 무인 감시 시스템을 증설하고 임차 헬기와 산불소화 시설을 확충한다.
박 시장은 "안전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시민행복도시에 중요한 조건으로, 시민의 일상과 생명을 지키는 일은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며 "시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각종 협력체계를 이 기회에 점검하고 더욱 강화해야 한다. 각자 자리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맡은 바 책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bsnews@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