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2명 중 1명, 저출산 원인 "자녀 양육 부담" 지목
  • 유명식 기자
  • 입력: 2025.04.15 10:12 / 수정: 2025.04.15 10:12
경기연구원 "출산 회복·인구구조 변화 대응 병행해야"
경기도민들이 꼽은 저출산 주요 원인 표 /경기연구원
경기도민들이 꼽은 저출산 주요 원인 표 /경기연구원

[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민 2명 중 1명은 저출산의 요인으로 자녀 양육에 드는 경제적 부담을 꼽았다.

경기연구원은 15일 발간한 '저출생에 따른 경기도 인구구조 변화 전망 및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지난해 11월 20세 이상 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답한 저출산 주요 원인은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47.8%)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12.7%)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10.1%) △주택 마련의 어려움(8.9%) 순으로 분석됐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으로는 △여성의 사회활동과 육아가 가능한 일가정양립 지원(30.1%) △청년층이 결혼을 늦추거나 하지 못하는 원인 해소(29.2%)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출생아·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경기도의 단기적 정책으로는 △자녀양육에 대한 경제적 지원(31.5%)을, 중장기적으로는 △성평등 등 문화 변화(21.5%)를 이끌어야 하다고 제안했다.

연구원은 이런 조사결과를 토대로 △출생과 돌봄 기회 강화 △고령친화사회 조성 △고용확대와 안정화 △다양성과 포용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부 사업으로는 △경기도 노인통합돌봄지원 전담조직 운영조례 제정 △인구감소 지역 학교의 역할 재구조화 △지역별 빈 일자리 실태 조사 및 외국인 실업자 일자리 매칭서비스 △경기도 공공주택 통합 대기자 명부 도입 등을 제시했다.

도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9명으로 전년 0.77명과 비교해 소폭 올랐으나 대체수준인 2.1명과는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전체 인구 대비 비중이 2000년 21.0%에서 지난 2023년 11.1%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장은 "출산율 회복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은 병행해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인구 전망을 토대로 한 저출생 대응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