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경남=이경구 기자] 경남환경운동연합등은 지역 4개 단체는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발생한 대형산불과 관련해 "임도 확대와 숲가꾸기 사업은 산불 방지의 대안이 아니다"며 "산림관리 전환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최근 대형산불이 발생했던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일대와 산청 지리산국립공원 내 산불피해 지역은 숲가꾸기를 통해 조림이 이루어진 곳과 숲가꾸기 사업으로부터 산림이 보호되는 국립공원 내 산불 피해 양상은 달랐다"고 밝혔다.
이어 "소나무 중심으로 숲가꾸기를 한 곳은 수관화(지표화로부터 발생한 불이 나무의 잎과 가지를 태우면서 수관으로 강한 화력이 퍼지는 위험한 불)가 발생, 대형 산불로 이어진다"며 "숲가꾸기를 통해 지표층이 정리된 곳은 바람의 통로가 돼 산불 확산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로 우리나라는 온대활엽수림의 식생 상황으로 바뀌고 있으니 숲의 생태에 맞춰 그대로 전이할 수 있게 둬야 한다"며 "인위적인 조림사업은 숲을 해칠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산불 현장은 다양한 환경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산불 예방책의 모든 해답이 임도로 귀결되는 데는 문제가 있다"며 "임도로 산불 초동 대응은 가능할지 몰라도 대형화된 산불에는 오히려 바람길 역할을 한다"고도 했다.
이들은 "임도를 산 곳곳에 설치한다 해도 산불 현장으로 진입해 불을 끄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산불진화 관련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hcmedia@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