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는 철산·하안택지지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 정비사업이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고 9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광명시는 노후 공동주택 단지가 집중된 철산·하안택지지구 지구단위계획을 선제적으로 수립, 재건축 정비사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12월 단지별 정비구역 지정, 2027년 사업시행인가, 2028년 관리처분인가, 2030년 착공,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기존 14개 단지 2만 6518세대보다 6000세대 증가한 3만 2000여 세대, 약 7만 9000명이 거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핵심은 지난해 3월 철산주공12~13단지, 하안주공1~13단지를 대상으로 수립한 지구단위계획이다. 일반적으로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은 이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과 달리, 정밀안전진단 승인 완료 전 계획을 수립해 원활한 사업 추진 기반을 조기에 확보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들 단지 중 하안주공13단지를 제외한 14개 단지는 재건축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며, 철산주공12~13단지는 2023년 1월, 하안주공1~12단지는 2024년 7월 정밀안전진단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단지는 용적률이 평균 168%로 사업성이 낮다는 어려움에 봉착해 있었다. 이에 따라 광명시는 통합개발 유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확보, 기반 시설 확보 등 재건축 사업의 원활한 추진 기반 마련을 지원하고 있다.
우선 정비구역 통합개발로 기반시설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했다. 하안주공1·2단지, 하안주공3·4단지, 하안주공6·7단지, 하안주공10·11단지 등 8개 단지를 4개로 묶고 나머지 단지들은 개별로 특별계획구역을 지정해 통합개발을 유도했다.
또한 향후 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시 현행 제2종일반주거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할 수 있도록 했다. 제3종은 ‘기준용적률’이 220%로 높고, 허용용적률은 250%까지 적용되며, 상한용적률은 최대 280%까지 확대될 수 있다. 여기에 친환경·지능건축물이나 장수명·공공임대주택을 건립하는 경우 최대 330%까지 허용한다.
아울러 지구단위계획에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시설 용지와 행정복지센터, 문화·체육시설 등 지역필요시설 용지를 반영해 시민 편의도 확보했다. 민간 재개발 사업으로 발생하는 개발이익의 14.8%를 공공기여로 환수해 시민 편의시설을 확보할 수 있는 용지를 적극적으로 확충한 것이다.
이와 함께 지구 내 건축물의 높이와 배치를 통합적으로 계획해 획일적인 층수 계획을 지양하고, 보다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아름다운 도심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주변 산의 조망권을 해치지 않도록 조화로운 경관을 유지에도 중점을 뒀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번 철산·하안택지지구 재건축 사업으로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삶의 질과 여유로운 휴식공간을 제공해 보다 안정적이고 살기 좋은 생활 기반이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정비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정·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주민 간 갈등은 최소화되도록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