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천안=정효기 기자] 충남 천안시가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생애주기 전반에 아우르는 지원 정책을 추진한다.
9일 천안시에 따르면 출생과 양육 인프라를 확대하고 스마트도시 조성 등 미래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확대를 통해 인구 유입을 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올해 천안시 아동·노인 등 복지관련 예산은 총 8395억 원으로, 시 일반회계 전체 예산 2조 1000억 원의 40%를 차지한다.
지난해 천안시 합계출산율은 0.77명으로 전국 평균 0.75명을 웃돌았으며, 누적 출생아 수는 3507명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10위를 달성했다.
시는 국·도비 포함 3198억 원의 예산을 출산 및 양육 환경 개선에 투입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조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한 지원 정책으로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을 통한 성평등 양육문화 조성 △출생축하금 지급 △충남 최초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산후조리원 비용 지원 △첫 만남 이용권 △네 자녀 이상 가구 대상 양육바우처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연령·혼인 여부 등과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에게 필수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하고, 임신 37주 이전에 태어난 이른둥이 외래 본인부담금도 경감하는 등 실질적인 출산 장려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보육 인프라 확충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충남 최초로 가정위탁 양육보조금을 연령별로 차등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도 앞장선다. 기존에는 연령 구분 없이 일괄 32만 원을 지원했으나 올해부터는 7세 미만 34만 원, 7~13세 45만 원, 13세 이상 56만 원을 각각 지급한다.
시는 초고령 사회 진입에 대응해 고령세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도 병행 중이다. 올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총 220억 25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93개 사업에 4833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했다. 수행기관도 9개소로 늘려 노인의 사회 참여 기회와 소득 보장을 동시에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노인복지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일일자리 사업을 발굴·추진하고, 살던 곳에서 편안한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통합돌봄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시는 양육·출산 등 살기 좋은 도시 인프라 조성과 함께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와 육성 등을 통한 청년인구의 유입에 나선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스마트도시로 부상하기 위해 유치에 도전하는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공모사업’은 인공지능 서비스와 모델 개발 등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반도체가 집적된 인프라 시설로, 정부와 민간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2027년까지 2조 5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되는 사업이다.
시는 국가 AI컴퓨팅센터 공모에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국내외 인공지능(AI) 분야 기업들과 민관합동 특수목적법인 출자를 위해 협의하고 있다.
시는 천안역세권 혁신지구를 중심으로 스마트 그린산업단지, 캠퍼스 혁신파크와 연계해 2026년까지 국비 160억 원, 지방비 160억 원, 민간투자 60억 원 등 총 380억 원 규모의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박상돈 천안시장은 "앞으로도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촘촘한 정책과 따뜻한 돌봄으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