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가 인구 550만 명에 이르는 경기 서남권의 응급의료 체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경기도는 8일 안양시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서 '서남권역 응급의료협의체'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는 경기도 응급의료과장을 비롯해 소방 관계자, 서남권 11개 시·군 보건소장,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도는 회의에서 △경기도 응급의료 현황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운영 사례 △중증환자전담구급차(MICU) 운영 △119구급 스마트 시스템 등에 대한 설명을 했다.
이어 참석자들과 △서남권 지역의 전원·이송 체계 개선 △시·군 간 기능 연계 △응급의료 협력 거버넌스 구축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협의했다.
참석자들은 정보공유 체계 구축과 협의체 정례화 등에 공감했다.
경기 서남권은 수원·안양·안산·과천·광명·군포·시흥·오산·의왕·평택·화성 등 11개 시·군으로 구성된 도내 최대 응급의료 권역이다. 약 547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시·군 간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어 응급의료 수요 또한 특정 시·군에 한정되지 않고 권역 내에서 함께 증감하는 특징을 보인다.
서남권에는 응급의료기관 29곳이 있어 양적으로는 많은 편이지만, 공급 쏠림과 등 수용 여건에 차이가 있어 환자 전원이나 이송이 관할 시·군을 넘어 인접 시·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도는 설명했다.
유권수 경기도 응급의료과장은 "지난해 의료대란 당시 총 413억 원을 긴급 투입해 중증응급환자 진료 공백을 최소화한 바 있으나 의료 현장의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협력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권역 단위 응급의료 체계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실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