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김형중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재판관 전원일치 파면 결정 이후, 정치권은 물론 지방자치단체 수장들의 행보 하나하나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최민호 세종시장 역시 이 가운데 적잖은 주목을 받고 있다.
최 시장은 그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와 탄핵 반대 입장을 밝혀 왔다.
특히 국회에서 계엄 해제가 이뤄진 지난해 12월 4일 이후에도 정치적 중립보다는 원론적 입장에 섰었다.
국민의힘 시도지사협의회를 통해 윤 전 대통령의 2선 후퇴와 비상거국내각 구성을 제안했으나 탄핵 자체에는 반대 입장을 유지했다. 이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를 중단하라는 협의회 입장에도 동의했다.
지난 1월 19일 세종 교회연합 신년행사에서는 체포 및 구속 영장과 관련해 "무죄추정의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윤 전 대통령을 옹호했고 지난 1월 23일에도 "윤 전 대통령은 여전히 현직 대통령으로서 방어권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3월 15일에는 세종시 보수단체 집회에서 무대에 올라 애국가를 개사한 ‘충정가’를 열창했다.
이러한 행보는 지지자들에게는 일관된 소신으로 비칠 수 있지만 동시에 정치적 중립성과 균형을 기대하는 시민들에게는 우려로 다가왔다.
세종시민사회단체는 최 시장의 그간의 발언이 지역 내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하며 시민들과의 신뢰 회복을 위한 공개적인 입장 표명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시민들도 "이제는 공직자로서 시정과 시민을 최우선에 두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금은 혼란의 시기다. 공직자의 말과 행동은 어느 때보다 신중해야 하며 공동체의 안정과 화합을 이끌어내야 할 책무가 크다.
최민호 시장 역시 세종시의 수장으로서 지금까지의 행보를 돌아보고 시민들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세가 요구된다.
지역의 미래는 정치적 입장을 넘어 시민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설계돼야 한다. 그 첫걸음은 겸허한 자세와 성찰에서 시작될 수 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