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토지 면적 2.4㎢ 증가…경제적 가치 약 2조3000억 원
  • 김재경 기자
  • 입력: 2025.04.07 10:17 / 수정: 2025.04.07 10:17
 2025년 지적통계 발표, 지속적인 토지개발 사업 등으로 토지 면적 증가 
토지 면적 증가 요인 /인천시
토지 면적 증가 요인 /인천시

[더팩트ㅣ인천=김재경 기자] 인천시는 인천의 총면적이 전년 대비 2.4㎢ 증가한 1069.5㎢(66만9028필지)로, 이는 약 2조3000억 원의 경제적 가치 증가로 이어졌다고 7일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1일 공표한 2025년 지적통계에 따른 것이다.

이번 면적 증가는 연수구 송도동 인천경제자유구역 11-2공구(1.5㎢)와 10공구 항만배후단지(0.9㎢)의 매립준공 등으로 인한 지적공부 신규 등록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 1970년 최초 지적통계 작성 당시 인천의 면적은 189.1㎢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공유수면 매립과 행정구역 편입을 통해 확장됐다. 2025년 지적통계 기준으로는 특·광역시 중 대구광역시(1499.5㎢, 2023년 군위군 편입으로 면적 증가)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1069.5㎢로 증가했다. 이는 초기 대비 5.6배 성장한 수치다.

인천시 주요 토지이용 분포를 살펴보면 임야가 36.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답(14.3%), 대(11.2%)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임야)과 농경지(전·답·과수원)가 전체 면적의 약 57.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목별 면적 현황 /인천시
지목별 면적 현황 /인천시

2024년 한 해 동안의 토지이용 변화는 잡종지, 임야, 답의 면적이 2.5㎢(-0.5%) 감소한 반면, 생활기반시설(대)이 2.2㎢(2%), 휴양·여가시설(공원, 유원지)이 1.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토지이용 변화에서도 전, 답, 임야의 면적이 각각 7.4%, 11.5%, 3.4% 감소한 반면, 대지, 도로, 공원 면적은 각각 17.8%, 16.1%, 87.8% 증가했다.

이는 인천시가 시민들의 쾌적한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해 교통 및 휴양·여가시설 등의 확충 사업을 지속 추진한 결과가 지적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토지 소유권 현황을 살펴보면, 개인이 52.4%, 국·공유지가 26.6%, 법인이 19.1%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개인 소유 면적은 3.6% 감소했다. 반면 국·공유지와 법인 소유 면적은 각각 11.7%, 6.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지적통계는 인천의 면적과 토지 이용 현황뿐만 아니라 사회적·환경적 변화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며 "정책 수립과 학술 연구 등 전문 분야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지도, 사진, 설명을 담은 이야기가 있는 지도 서비스(인천시 지도포털)와 연계한 콘텐츠로 제작해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infac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