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가 2030년까지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환자 다발생 지역인 파주·고양·김포시 등에 예산과 인력을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도는 4일 2025년 상반기 경기도 말라리아 퇴치사업단 온라인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30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군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해 말라리아 환자 다발생 지역에 대한 집중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도는 지난해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19개 시군으로 확대해 관리하고 시군 담당자 대상 말라리아 대응 역량 강화 교육 실시했다. 모기기피제 등 말라리아 예방 홍보물품과 영상을 제작해 배포했다.
도는 올해 선택과 집중 투자로 말라리아를 적극 관리할 계획이다. 환자 다발생 지역인 파주시, 고양시, 김포시에 전체 예산 48억 6300만 원의 61%(29억 6100만 원)를 배정하고 전담 인력도 5명에서 10명으로 추가 배치한다. 이를 통해 공동노출자 관리, 환자 주변 집중 방제 등 환자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군집사례 발생 시 심층 역학조사, 말라리아 경보 발령을 통한 조치로 유행을 차단할 계획이다. 말라리아에 대한 도민 인지도 향상을 위해 G-버스 등을 활용해 예방 교육과 홍보를 다각화하고 야외 활동이 많은 20~30대 남성 환자 비율이 큰 점을 고려해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홍보도 추진한다.
유영철 도 말라리아 퇴치사업단장은 "기후변화로 여름철이 장기화되면서 말라리아 등 매개모기 감염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말라리아 등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모기 기피제 사용, 야외 활동 시 긴 옷 착용 등 예방수칙을 지켜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해 도 말라리아 환자는 전년 대비 9.4% 감소한 393명으로 전국 대비 약 55%가 도에서 발생했다. 특히 도내 환자의 약 82.2%에 해당하는 323명이 경기 북부 지역에서 발생했다. 파주시 147명, 고양시 56명, 김포시 56명 순으로 많았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