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는 2일 올해 일자리 1만 4724개 창출을 목표로 △직접 일자리 사업 △직업 능력 훈련 △고용서비스 제공 △고용 장려금 지급 △창업 지원 등 108개 사업에 예산 555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사업별 일자리 목표는 △임금을 직접 지원하는 직접 일자리 6304개 △구인·구직 정보 및 취업 알선 등 고용서비스 4843건 △직업 능력 훈련 2602건 △고용 장려금 10건 △창업지원 173건 △고용 안전망·인프라 구축 792건 등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민생경제 회복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일자리 창출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정의 핵심 과제"라며 "민간과 공공을 아우르는 맞춤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해 지역 경제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시정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계층별 맞춤형 공공일자리를 창출해 민생경제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
직접 일자리 창출 사업은 함께일자리, 행복일자리, 새내기 청년일자리,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어르신과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사업 등 모두 58개 사업을 추진한다.
고령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시니어클럽, 복지관 등에서 3235개 노인 일자리를 제공한다. 광명시는 올해 시니어 카페인 '카페 20', '카페 데이라이트'를 신규 개업해 양질의 어르신 일자리를 확대했다.
아울러 산업,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한 계층별 수요맞춤형 직업교육훈련 과정과 취·창업 지원을 강화한다.
일자리센터와 여성새일센터에서는 전문 직업상담사가 구인·구직 상담으로 수요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취업을 알선한다. 또한 여성비전센터, 여성새일센터, 인생플러스센터에서는 직업교육 훈련을 통해 수료생들이 취업할 수 있도록 연계할 예정이다.
인생플러스센터는 또, 50~60대를 위한 직업능력개발 교육 20개 과정을 개설해 실질적인 재취업을 돕는다. 학습한 기술을 지역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활동도 적극 지원해 신중년의 사회공헌 활동 참여를 돕는다.
청년 역량맞춤 일자리 지원을 적극 추진한다. 청년 취업성공 마스터 프로그램 등 일반 취업 지원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4차산업 분야 맞춤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특성화고 학생과 청년이 원하는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청년 취업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또한, 지역에서 창출된 이익이 지역 내에서 선순환할 수 있도록 지역순환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자산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내년에 조성될 사회적경제 혁신센터를 지역순환경제 거점 공간으로 삼아, 지역 경제 주체들이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창업자들에게 사무실 공간과 사업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스타트업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창업 활성화 정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노인·여성위원회, 매 분기 일자리 창출 점검 회의 등을 운영해 지역 특성과 계층에 맞는 일자리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등 일자리 거버넌스와 고용 안전망도 더욱 공고하게 다질 방침이다.
광명시는 지난해 일자리 창출 목표 1만 4081개를 3분기에 조기 달성하고, 고용노동부 주관 '2024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일자리 목표 공시제 부문에서 우수상(장관상)을 수상하는 등 일자리 창출 성과를 인정받았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