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부산=박호경 기자] 부산시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시행을 앞두고 '부산시 비상수출 대책 2.0'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부산지역 수출기업의 97%를 차지하는 중소기업들이 급변하는 관세정책 등 통상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해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
주요 방안으로는 관세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지원 확대, 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지원, 위기대응체계 구축, 5개 분야 10대 핵심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관세 조치에 따라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에는 1개사 당 대출한도 최대 8억 원(향토기업은 9억 원)의 긴급운전자금을 총 1000억 원 규모로 지원한다. 향후 지방세납부 기한 연장, 징수·체납처분·세무조사 유예 제도 등도 시행한다.
또한 연간 수출실적 3000만 달러 이하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200만 원 한도로 기업수요가 많은 4종의 수출보험료를 5000여 개사로 확대지원해 수출위험 부담을 안화한다.
기업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서는 수출바우처 지원 분야 신설·해외물류비 지원 규모 증대를 통해 수출거래 비용을 300여 개사로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미국 현지 협력 공동물류센터를 기존 3곳에서 2곳을 추가해 5곳으로 확대한다.
'글로벌 사우스' 지역 등 코트라 선정 해외 진출 유망 6국 등에 해외 전시회 참가와 무역사절단 파견하고 해외규격 인증 취득, 지재권 출원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 지역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해 1개 사당 600만 원 한도로 지원한다.
또한 '관세 대응 119' 원스톱 상담창구를 설치·운영해 상주관세사가 기업의 상황에 맞는 전문 상담(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당면한 자동차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긴급 운전자금지원과 해외 물류비 지원 등을 실시하고 장기적으로 미래차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핵심부품 연구개발 지원과 수출주도 미래차 혁신성장 기반 구축 등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국가적 경제 안보가 위협받는 현재 통상위기 속에서 부산 기업은 부산이 직접 지켜낼 것"이라며 "지난 1월 추진한 통상위기 극복 수출 비상대응 방안을 보완해 부산시 비상수출 대책 2.0을 발 빠르게 마련하고 추진하는 만큼 앞으로도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적시적기에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총력을 다해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bsnews@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