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가 올해 장애인 자립 예산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5977억 원을 투입해 장애인 자립지원을 위한 일자리와 거주공간, 자립 전·후 생활지원 등 3대 영역에서 43개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경기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시행계획은 ‘(2024~2026) 경기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계획’에 따른 계획으로 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도는 ‘장애인 스스로 삶을 선택하는 기회의 경기도’를 비전으로 지역사회 자립생활 실현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 3대 영역으로 나눠 43개 세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예산은 국비 9067억 원, 도비 1539억 원, 시·군비 5371억 원으로 구성됐다.
일자리․소득 영역에서는 경제활동으로 기본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공공일자리, 맞춤형 일자리, 장애인 기회소득 등 22개 사업에 5559억 원을 투입한다.
도는 행정 및 복지기관 등의 사무·행정·서비스 보조에 전국 최대 규모인 공공일자리 4944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공모사업의 사업량과 사업기간의 확대를 통해 중증장애인의 다양한 직업능력 개발, 취업촉진 등을 위한 일자리 775개를 제공한다.
또한 직업훈련 참여유도를 위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훈련장애인 1592명에 1인당 월16만 원의 기회수당을 지급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과 소득지원을 결합한 장애인 기회소득, 자산형성을 위한 누림통장 지원 대상도 확대한다.
독립된 거주 공간 확보를 위한 주거 지원 4개 사업에는 81억 원을 투입한다.
장애 당사자의 특성에 적합한 체험형·생활형 주거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요자가 능동적으로 주거공간과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체험홈·자립생활주택·자립주택 180호를 운영하고, 자립 희망 장애인에게 자립 초기 필요한 재정을 지원하는 자립생활 정착금 지급을 통해 지역사회 자립을 도모할 계획이다.
자립전․후 생활지원 영역에서는 자립욕구 실태조사, 발달장애인 자립지원서비스, 활동지원급여 등 17개 사업에 1조 337억 원을 투입한다.
관련 사업으로는 △광역 최초로 시행하는 재가 중증장애인 대상 자립욕구 실태조사 △자립을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자립전환지원단 기능 강화 △자립 후 지역사회에서 원활한 일상생활과 자립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제공 △발달장애인 자립을 위한 평생교육센터 운영, 주간 청소년 방과후 활동 서비스 △지역장애인 보건의료센터 운영 등이 있다.
김하나 도 복지국장은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더 많은 장애인들에게 고른 혜택이 돌아가도록 세심하게 살피겠다"며 "사회·경제·문화적 변경에 따라 요구되는 맞춤형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에는 맞춤형 일자리 분야에서 38개 수행기관 연계를 통해 726명이 사업에 참여했으며, 일반형·복지·특화형 일자리 등 공공일자리 분야에 5371명을 채용하는 등 일자리를 제공했다.
또 체험홈·자립생활주택·자립주택 등 자립주거지원 사업에 141호를 운영해 188명의 자립을 지원했으며, 발달장애인 주간·방과후 활동 등 자립지원 사업을 통해 7565명을 지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