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인천= 김재경 기자] 올해로 개항 24주년을 맞은 인천공항이 AI(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는 '항공 AI 혁신 허브'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8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1층 밀레니엄홀에서 '인천공항 개항 24주년 기념식 및 항공 AI 혁신 허브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선포식에는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을 비롯해 공사 및 자회사, 공항상주기관, 항공사, 물류업체 관계자 약 200명이 참석했다.
이학재 사장은 비전 선포식을 통해 AI로 대표되는 미래 공항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전략인 'AI 혁신 허브 조성'를 강조했다.
이어 AI 기술을 기반으로 직접 제작한 특별영상을 시연하며, 항공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연관 산업 생태계가 조성된 '인천공항 4.0 시대'의 미래 모습을 제시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4.0 시대'로의 도약을 위해 항공 AI 데이터센터, 항공 R&D(연구개발)·비즈니스 센터, 글로벌 빅테크 기업 유치 등을 골자로 하는 항공 AI 혁신 허브 개발사업을 추진 중으로, 제안 공모를 통해 관련 기업의 제안 사항을 검토한 후 향후 실제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제안 공모에서는 서울대 AI연구원, SK텔레콤, LG CNS, KAIST 김재철AI대학원, 삼천리자산운용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제안자 컨소시엄)이 최우수 제안자로 선정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이 아시아 공항 최초로 가입한 '공항 AI 연합(Airports AI Alliance;AAA)' 소속 프라포트(독일 공항 운영기업)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AWS(아마존웹서비스)의 협력 메시지도 공유했다.
프라포트와 AWS는 협력 메시지를 통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추진 중인 항공 AI 혁신 허브 조성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날 비전 선포에 맞춰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인천공항 제1·2 여객터미널 간 연결도로(15km)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셔틀의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번에 도입되는 자율주행셔틀은 고속주행(80km/h)을 포함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비상시에 대비해 운전자 1명이 상시 탑승해 운행한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이 개항 24년 만에 세계적인 공항으로 성장하기까지 정부의 지원과 국민 여러분의 성원, 그리고 9만 4000여 명 공항 상주 직원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인천공항은 항공 AI 혁신 허브 및 산업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해 미래 공항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infact@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