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내포=이정석 기자] 충남도가 도내 수산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김산업의 국내외 경쟁력 강화 등 미래 10년을 책임질 육성 전략 마련에 나섰다.
충남도는 28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전상욱 해양수산국장을 비롯해 시군 관계자, 전문가, 부경대·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연구진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김산업 육성 발전 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의 김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김산업 진흥 기본계획 등과 도의 김산업 육성 계획 간 연계성을 확대해 체계적인 중장기 계획 도출을 목표로 추진한다. 주요 과제는 △국내외 김산업 분석 △충남 김산업 실태조사 및 현황 분석 △김산업 육성 발전을 위한 분야별 세부전략 수립 △정책제언 등이다.
국내 농수산물 수출품목 중 단일품목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김 수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 9억 9700만 달러로, 2010년 1억 1000만 달러 대비 9배 성장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도는 물김 생산량 점유율이 6~7% 수준임에도 마른김과 조미김 중심으로 지난해 1억 95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 전국 수출액의 19.5%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최근 기후 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저수온에서 양식이 적합한 김 양식 적지가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데다 산업적 가치가 있는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 부진해 매년 고품질 김 생산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내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남 마른김 특화단지의 대규모 업체와 비교해서 영세한 실정이고, 지하수와 수원지의 용수 고갈 및 세척수의 배출 처리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도 절실한 실정이다.
전상욱 충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충남은 국내 주요 김 생산 및 가공 지역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이라며 "연구용역을 통해 도내 김산업의 미래 전략을 구체화하고, 김 산업 현장과 소통하며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