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교육청의 자율선택급식 확대 정책에 대한 시민·사회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가 학생들의 편식을 강화한다며 재고(<더팩트> 3월 25일 보도)를 촉구한 데 이어 이번에는 급식에 친환경 농산물 공급이 축소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친환경학교급식 경기운동본부는 28일 성명을 내고 "학생 건강을 위한 학교급식은 자율권과 선택권이 아닌, 친환경 농산물 먹거리로 만든 학교급식을 골고루 잘 먹게 하는 교육급식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운동본부는 "도교육청이 학생의 자율권과 선택권을 확대해 학생 스스로 건강한 식사 관리를 할 수 있다는 명목으로 참여 학교를 무리하게 늘리면서 교육적 관점에서 실시하는 학교급식이 아니라 단지 만족도 높이기에만 치중하는 '급식맛집'의 관점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전국의 어느 곳보다 잘 진행되던 친환경 농산물 사용이 급식에서 배제되고 있다"며 도교육청에 공식 토론과 면담을 요청했다.
도교육청은 지난 2022년부터 학교급식에 대해 학생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취지로 자율선택급식을 도입해 추진 중이다.
지난 2022년도 10개교를 시작으로 2023년 70개교, 지난해 250개교가 시범 운영했고 올해는 500여 개교로 늘린다는 목표다.
도교육청은 자율선택급식 확대를 위해 참여 학교에 1개교 당 800만~1500만 원씩 총 3억 9500여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전교조 경기지부 영양교육위원회는 "자율선택급식 시행 후 학생들의 선호도가 낮은 채소, 과일, 생선, 밥, 국 종류가 기존보다 많이 남는 등 편식 행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학생들의 건강과 식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인지 재고해야 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구희현 친환경학교급식 경기운동본부 상임대표는 "자율선택급식 학교에 인스턴트 식품도 확대 공급되고 있다"면서 "친환경 우리 농산물 소비가 줄고 선심쓰기식 예산 사용으로 일반 학교와의 예산 불평등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