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도시, 실질적 행정수도로 도약…'완성형 도시 눈앞'
  • 김형중 기자
  • 입력: 2025.03.27 14:38 / 수정: 2025.03.27 14:38
행복도시는 진화 중…실질적 행정수도 기반 위 자족·정주 기능 갖춰
항공에서 본 행복도시 전경 /행복청
항공에서 본 행복도시 전경 /행복청

[더팩트ㅣ세종=김형중 기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이 오는 2030년 '행복도시' 완성을 앞두고 자족 기능 강화와 생활 인프라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도시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행복청은 지난 2007년부터 세종시 일원에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조성 중인 '행복도시'를 첨단산업 육성과 거주 기반 확충,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행정수도 도약 위한 도시 계획 변경=행복도시는 지난 2007년 7월 첫 삽을 뜬 이후, 2012년 9월 국무총리실을 시작으로 44개 중앙행정기관과 15개 공공기관, 16개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5개 공익·연합단체의 이전이 확정돼 명실상부한 행정 중심 도시로 자리 잡았다. 인구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 2023년 4월 기준 30만 명을 넘어섰다.

2021년 도시 완성 단계에 접어든 행복도시는 정책 환경 변화에 발맞춰 실질적 행정수도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023년 12월에는 '행복도시건설 기본계획'을 개정해 기존 '복합형 행정·자족도시'에서 '지역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실질적 행정수도'로 방향을 수정했다. 이에 따라 국회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이 들어설 S-1생활권을 '열린 공간'으로 설정하고, 올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예정이다.

◇산·학·연 융합 통한 혁신 성장 기반 구축=행복청은 도시 자족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조성된 '세종테크밸리'에는 네이버 데이터센터와 마크로젠 등 IT·BT 분야 400여 개 첨단기업이 입주했다. 지난해 9월에는 대학과 연구기관이 캠퍼스를 공유하며 융합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국내 최초 '공동캠퍼스'가 문을 열었다.

세종시 원수산에서 본 행복도시 변화 전경. 전(위) 현재(아래) /행복청
세종시 원수산에서 본 행복도시 변화 전경. 전(위) 현재(아래) /행복청

이와 함께 국가중추시설 배후 생활권으로 조성되는 6-1생활권은 주거·교육·공공시설과 함께 미디어, 컨벤션, 공공업무, 문화·상업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공간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행복도시 업그레이드, 정주환경 개선 가속화=행복청은 신규 생활권 개발뿐만 아니라 기존 지역의 기능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나성동(2-4생활권) 중심상업용지 일부를 공공기관 용지로 전환해 공공기관 추가 이전 수요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소비층 확보 및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대평동(3-1생활권)에는 청년층과 1~2인 가구를 위한 도심형 주택용지를 배치해 주거 안정을 지원한다. 건물 저층에는 생활 편의시설을, 3층 이상에는 원룸 형태의 소규모 주택을 조성해 입주민 편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동차운전면허시험장과 농수산물도매시장 등 미완성된 도시 기반시설에 대한 추진 방안을 관계기관과 협의해 마련할 예정이다. 김형렬 행복청장은 "행복도시는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상징이자 미래 성장의 거점이 될 것"이라며 "도시 완성도를 높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성장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tfcc202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