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용인=유명식 기자] 이상일 경기 용인시장은 27일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서는 평택~이천 부발선을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연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택에서 이천시 부발까지 이어지는 철도노선이 용인반도체클러스터가 조성되는 원삼면을 경유해 이른바 '반도체선'과 접속해야 사업의 타당성과 경제성이 증대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 시장은 이날 자료를 내 "용인과 평택, 이천의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일하는 근로자들과 안성시민들이 교통편의를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평택~부발선은 평택~안성~용인~이천·부발로 이어지는 59.4㎞ 길이의 노선이다.
지난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돼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사업이 본격화한다.
KDI는 2021년 10월 예비타당성조사에 돌입, 연말쯤 결과를 낼 예정이다.
'반도체선'은 용인시가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하려는 노선이다.
화성 동탄~남사·이동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이천·부발 간 40.6㎞ 길이로 계획됐다.
평택~부발선이 원삼면과 연결되면 반도체선의 원삼~부발 구간은 평택~부발선과 노선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은 줄고 이용은 늘어 경제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게 이 시장의 견해다.
용인에는 삼성전자가 360조 원을 투자하는 778만㎡ 규모의 용인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SK하이닉스가 122조 원을 투입하는 415만㎡ 규모의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상일 시장은 "국가의 미래경쟁력을 좌우할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최대한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교통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게 중요하다"며 "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된 평택~부발선이 원삼면을 경유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진행된다면 동탄~부발의 반도체선 철도사업의 타당성도 높아질 것이고, 서둘러 추진될 수 있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