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남지사 "지리산 지켜내자"…지리산 국립공원 산불 확산 '전방위 대응'
  • 이경구 기자
  • 입력: 2025.03.27 11:26 / 수정: 2025.03.27 11:26
정부 신속하고 전폭적인 지원 촉구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7일 산청 산불이 지리산 국립공원으로 확산된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전방위 대응을 지시하고 있다. /경남도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7일 산청 산불이 지리산 국립공원으로 확산된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며 전방위 대응을 지시하고 있다. /경남도

[더팩트ㅣ산청=이경구 기자]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27일 산청 산불이 지리산 국립공원으로 확산된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박 지사는 "지금은 대한민국 제1호 국립공원을 지켜내야 할 절체절명의 순간"이라며 전방위 대응을 지시했다.

박 지사는 "최우선 목표는 불길을 최대한 빠르게 진압해 더 이상의 확산을 막는 것"이라며 "중앙정부 차원의 신속하고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산불이 국립공원 경계선을 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왔으나 26일 오후 강풍에 날린 불티가 지리산 국립공원 구역 안으로 옮겨붙으며 결국 불길이 공원 내부로 확산됐다.

박 지사는 "지리산 국립공원은 대한민국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이다. 국립공원 제1호의 의미는 지리산 전역을 역사적, 문화적, 생태환경적 가치를 국가가 처음으로 인정한 것"이라며 "우리는 그 가치를 지켜낼 막중한 책임 앞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산불 진화 작업은 강풍과 건조한 날씨, 험준한 산세로 인해 매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지사는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물러설 수는 없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지켜 내겠다"며 "도민 여러분의 마음을 모아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현재 산림청, 소방청, 군부대 등 유관기관 과의 긴밀한 공조 아래, 진화 헬기, 전문 인력, 방화선 장비 등을 총동원하고 있다. 특히 지리산 국립공원 경계에 대한 입체적 방어 전략을 가동 중이다. 열 감지 시스템 운용, 실시간 상황 점검 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27일 오전 5시 기준, 산청·하동 산불 진화율은 77%이다. 산불 영향 추정 구역은 약 1720ha로 집계되고 있다. 총 화선 67km 중 51km가 진화됐다. 남은 16km의 구간에 대해 집중 진화가 이어지고 있다.

지리산 국립공원은 총 면적 483.022km²에 달한다. 전남·전북·경남 3개 도에 걸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립공원이다. 고산지대, 계곡, 원시림, 희귀 야생동물 서식지 등 다양한 생태계의 보고다. 민족의 정서와 정신이 깃든 '민족의 영산'으로 불려왔다.

특히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현재 80마리가 넘는 반달가슴곰이 서식 중이다. 지리산을 둘러싼 복원 사업은 생태적 책임과 미래세대를 위한 실천의 상징이 돼 왔다.

hcmedia@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