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재산이 급여와 임대소득 등으로 지난 1년 새 1억 6000여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기초단체장 10명 중 7명도 부동산 재테크 등으로 재산을 불린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정부와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에 따르면 김 지사는 건물(전세임차권 포함) 23억 6300만 원, 예금 13억 4894만 원, 채무 2억 1000만 원 등 모두 35억 506만 원을 신고했다.
전년 신고액 33억 3674만 원보다 1억 6832만 원 늘어난 금액이다.
김 지사는 부인 명의로 보유한 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아파트(59.98㎡) 13억 6300만 원과 전세로 거주 중인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광교중흥에스클래스 아파트(109.61㎡) 10억 원을 각각 신고했다.
예금도 지난해 11억 8207만 원에서 13억 4894만 원으로 1억 6687만 원 증가했다.
김 지사는 모친과 아들의 재산은 독립생계유지를 이유로 '고지거부' 했다.
도내 시장·군수 31명은 평균 14억 7000여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22명의 재산이 늘었는데 이상일 용인시장 재산의 증가폭이 4억 4977만 원으로 가장 컸다. 이 시장은 배우자 소유 아파트의 공시가격 상승과 약사인 자녀의 소득 등을 변동 사유로 밝혔다.
이민근 안산시장도 기존 거주하던 배우자 소유의 아파트(84.67㎡)를 8억 원에 매각하고, 장남 아파트 분양권(168.69㎡)을 1~2년 만에 되팔아 재산을 3억 7780여만 원이나 불렸다.
그는 인근 164.87㎡ 규모의 연립주택을 8억 3000만 원에 매입해 이사했다.
이 시장은 공시가격으로 신고했다가 실거래가를 반영해 차액 등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김성제 의왕시장은 전년 51억 6101만 원보다 43억 8771만 원이 줄어든 7억 7330만 원을 신고했다.
김 시장은 주식가치가 일시적으로 과대 평가된 배우자 소유 비상장주식을 액면가로 매도했다고 그 이유를 소명했다.
시장·군수 중 최대 자산가는 최대호 안양시장으로 신고액은 50억 6735만 원이었다.
비상장주식 평가액 하락 등으로 전년도 51억 6323만 원보다는 다소 줄었다.
이어 △이상일 용인시장 49억 1790만 원 △이권재 오산시장 27억 7529만 원 △백영현 포천시장 27억 765만 원 △백경현 구리시장 24억 7762만 원 △주광덕 남양주시장 24억 5301만 원 순이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