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삶터·일터·쉼터'로서 농촌재생 정책교육 진행
  • 신태호 기자
  • 입력: 2025.03.26 17:19 / 수정: 2025.03.26 17:19
15개 시군 담당자 대상…행정 역량 강화·인적 네트워크 기반 마련
25~26일 용인시에서 열린 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경기도
25~26일 용인시에서 열린 '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경기도

[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25~26일 이틀간 용인시에서 도내 농촌공간 기본계획 수립 대상인 15개 시군 담당자를 대상으로 '2025 경기도 농촌재생 정책교육'을 진행했다.

경기도는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을 농촌공간 광역 지원기관으로 지정하고, 지난해 10월에는 '경기농촌재생지원센터'를 개관해 도내 농촌 지역의 재구조화 및 재생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농촌 재구조화와 농촌 재생은 난개발과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농촌정책의 핵심 방향이다. 삶터·일터·쉼터로서의 농촌 기능을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교육은 지난해 제정된 '농촌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촌 지역을 포함한 기초지자체의 농촌공간 기본계획 수립이 법적 의무가 된 가운데 계획 수립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교육에는 이천시 등 14개 기본계획 수립 대상 시군의 담당자 및 중간지원조직, 도내 유관기관 관계자 등 총 50여 명이 참석했다.

정책교육은 △농촌 재구조화 정책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을 이해하기 위한 특강 △농촌공간 계획 선행 사례를 바탕으로 한 토론 △행정·중간지원조직·주민 간 민관협치 실현을 위한 실습으로 구성됐다.

강은지 경기농촌재생지원센터장은 "개발 압력이 높은 도농복합시가 많은 경기도는 농촌다움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접근성이 좋은 지리적 특성을 살리면 삶터, 일터, 쉼터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만큼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문무 경기도 농업정책과장은 "이번 정책교육을 계기로 각 시군이 농촌공간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