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 수원시는 '모두의 삶이 빛나는 수원'을 비전으로 하는 '2025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인구정책 시행계획의 3대 정책목표를 △모든 세대의 삶의 질 향상 △인구구조 변화 지역사회 인식개선 확산 △저출생·고령사회 정책지원 통합 관리 및 체계화 등으로 정했다.
이와 함께 △함께 살다(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회 조성) △오래 살다(건강하고 능동적인 고령사회 구축) △희망에 살다(모두의 역량이 고루 발휘되는 사회) △미래에 살다(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적응) 등을 4대 추진 전략으로 삼아 이를 토대로 저출생·고령화 대응뿐 아니라 생애 전 주기를 돌보는 125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이 가운데서도 저출생 대응 분야인 '함께 살다'에 3631억 원을 투입해 임신·출산·양육·돌봄 등에서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기존 사업은 확대하기로 했다.
주요 사업을 보면 △중소사업장 초등 새내기 10시 출근제 △다함께돌봄센터 확충 △아이돌봄 △수원새빛돌봄 돌봄공동체 조성 사업(임신부 가사서비스) △난임부부 시술비,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다자녀가구 수원휴먼주택 지원 △청개구리 교실 등이 있다.
'중소사업장 초등 새내기 10시 출근제'는 초등 새내기(1학년) 학부모 직원을 대상으로 '10시 출근제'를 도입하는 중소사업장에 단축근무 장려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초등 새내기 학부모 직원이 임금 삭감 없이 단축근무를 할 수 있게 시가 2개월 동안 직원 1명당 최대 60만 원을 지원한다.
시는 또 올해부터 수원새빛돌봄과 연계해 임신부를 대상으로 청소, 세탁 등 가사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생애 25차례 지원하던 난임부부 시술비는 지난해 11월부터 '출산당 25차례(인공수정 5차례, 체외수정 20차례) 지원'으로 확대했다. 본인부담률은 45세 미만 30%, 45세 이상 50%였지만 연령 구분을 없애고 30%로 동일하게 지원한다.
지난해 수원시 합계 출산율은 0.73으로 전국 평균(0.75)보다 0.02포인트 낮았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6만8332명으로 전체 인구의 14.1%이다.
다만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8.97% 늘었다. 전국 평균 증가율 3.1%의 3배 가까운 수치다.
시 관계자는 "출산·양육 정책과 주거, 돌봄, 일자리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이 조금씩 효과를 내면서 지난해 수원시 출생아 수가 9%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과 신혼부부가 수원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수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