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경남=이경구 기자] 경남도는 산업계 인력난 해소를 위해 2030년까지 산업인력 충원율 90% 이상 달성을 목표로 산업계 맞춤형 인력 양성-고용 연계-고용 안정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경남도는 2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2025~2530 경남도 산업인력 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도는 핵심 과제 추진을 위해 2030년까지 1조 7602억 원을 투입해 산업 수요 맞춤 지원책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세부 추진 전략으로 산업 맞춤형 인력 지원(인력 양성), 수요자 중심의 일자리 매칭 강화(고용 연계), 지속가능한 일자리 환경 조성 지원(고용 안정)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산업 맞춤형 인력 지원은 전략 산업 육성과 연계해 특성화고, 대학 등과 함께 맞춤형 산업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해 2030년까지 4만 6000여 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경남형 미래전략산업 교육발전특구는 진주·사천·고성의 우주항공, 창원의 스마트제조, 김해·양산의 자동차·의생명 등 5개 지구로 나누어 2026년까지 산업기능인력 6000여 명을 양성한다.
도가 주도하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원전·방위·조선 등 경남 10대 전략 산업과 연계 대학의 특성화를 강화해 2029년까지 2만 2000명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한다.
또 지역 산업 수요에 기반해 산학공동연구 및 기술개발 특성화 대학을 육성하고 글로컬대학 육성과 연계한 전략 산업 특성화 대학원 운영 등으로 2029년까지 1600여 명의 고급기술인력도 양성한다.
중소기업 인력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외국 인력 도입을 확대하고 정착 지원을 강화해 2030년까지 4만 7000여 명을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다. 올해 시범 도입하는 경남형 광역비자는 지역에서 필요한 대상자, 체류 자격과 쿼터 등을 직접 설계해 운영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지역 정착을 위해 올해부터 외국인 근로자 지원센터를 3곳에서 5곳으로 확대해 다양한 체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외국 인력의 주거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기업의 직무 중심 채용 수요와 청년의 취업 준비 선호를 반영해 2030년까지 청년 10만 명의 취업을 지원한다.
청년의 단계별 일 경험 지원 체계를 구축해 재학단계에서는 RISE사업에 산학 연계 교육과정을 의무적으로 반영해 기업 현장 체험, 기업 연계 교육, 인턴십 등을 확대한다.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일경험, 기업 탐방 프로그램 등을 확대하고 신중년 채용 고용장려금도 확대, 여성들의 취·창업 지원, 경력 유지 지원, 인턴 일경험, 취업장려금 등을 지원한다.
중소기업에 인력이 유입되어 장기 재직할 수 있도록 직무 향상, 임금, 복지, 근무 환경 등 대·중소기업 간의 격차를 완화하는 지원도 확대한다. 직장 문화 개선을 위해 중소기업 일·생활 균형 컨설팅,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육아휴직 대체 인력 일자리 급여 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모다드림 청년통장, 주력 산업 상생희망공제, 조선업 내일채움 공제 사업 등 근로자들의 자산 형성을 도와 임금 격차를 해소하고 장기 재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cmedia@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