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용인=유명식 기자] 경기 용인시는 '3차원 디지털트윈 데이터 셋'을 시 전역(591.5㎢)으로 확대 구축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서울시 자치구를 빼면 용인시가 처음이다.
디지털트윈은 현실 세계의 공간을 가상 세계에 구현해 미래를 예측하거나 대응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도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모니터링과 진단, 예측, 해결 방안 등을 도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미국과 싱가포르, 영국 등에서 적극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고 시는 전했다.
용인시가 이번에 확대 구축한 것은 △다방향 항공 경사 카메라와 항공 레이저 센서 촬영 데이터 △3차원 건물 모델 △수치표고모델 △실감 정사 영상 등 대규모 공간 데이터다.
지난해 12월 공간정보품질관리원의 공공측량 성과 심사에서 적합 판정을 받아 지난 2월부터 국공유지, 육교, 교량 등을 관리하는데 쓰이고 있다.
시는 앞으로 도시계획 등의 심의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가시권·조망권 분석과 입체 조감도 기능 구현, 여름철 집중호우 발생에 대비한 침수 상황 예측 모델 개발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23년 국토교통부의 '디지털트윈 국토 시범 사업' 공모에 선정돼 기흥구와 수지구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 일원 약 37.4㎢에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한 3차원 데이터 셋을 구축했다.
이상일 시장은 "시 전역에 3차원 디지털트윈 데이터 셋이 구축된 만큼 이를 잘 활용해 시민들에게 꼭 필요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