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평택=신태호 기자] 경기 평택시가 평택호 유역 수질 안정성과 대규모 K-반도체 방류수 선제 대응을 위해 국가수질자동측정소(환경부 주관) 3개소의 설치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자동측정소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시설로 중금속, 생물감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최대 28개 항목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평택호는 시와 인근 지역에 매년 약 5억 톤의 농․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나 급속한 개발로 인해 오염물질 유입이 증가하며 녹조 등 다양한 수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경기도 용인지역에 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 입지가 확정됨에 따라 2040년 이후에는 총 160만 톤(일기준) 이상의 반도체 방류수가 평택호로 유입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시는 환경부에 수계의 중요성과 물 안심 방안 수립을 적극 건의해 측정소 설치를 추진하게 됐다.
이번 사업을 담당하는 한국환경공단은 시와 협의해 최적지를 선정하고 2026년 말까지 최종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공사는 전액 국비로 진행된다.
시는 자동측정소가 완료되면 수질 수생태계 보전 및 지역 주민 불안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이번 국가 수질자동측정소 설치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 상황을 신속히 파악해 혹시 모를 대규모 오염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