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규제 대응 세미나 개최
  • 이병수 기자
  • 입력: 2025.03.12 16:50 / 수정: 2025.03.12 16:50
전희경 원장 "무역장벽같은 탄소배출 규제…대응 방안 나서야"
12일 충남연구원서 열린 충남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규제 대응 주제의 정책세미나에서 전희경 원장이 인삿말을 하고 있다. /충남연구원
12일 충남연구원서 열린 '충남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규제 대응' 주제의 정책세미나에서 전희경 원장이 인삿말을 하고 있다. /충남연구원

[더팩트ㅣ내포=이병수 기자] 탄소중립을 둘러싼 글로벌 규제정책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 내 중소기업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세(CBAM) 등 2026년 탄소배출 규제 시행을 앞두고 개별 중소기업 차원의 솔루션 마련 현황 파악 및 정책지원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는 취지다.

충남연구원은 12일 연구원에서 '충남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규제 대응'을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발표를 맡은 권혁준 IBM컨설팅 전무는 "2026년부터 본격화하는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세는 일종의 무역관세로써 유럽에 수출하는 기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개별기업 차원의 대응보다는 국가 주도의 공급망 탄소규제 대응 시스템 구축, 중소·중견기업 역량배양 프로그램 운영, 무탄소 에너지의 안정적·경제적 공급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낙현 그리너스 대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사업장 중심의 관리체계에서 내재 탄소배출을 포함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중심의 관리체계로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에너지 소모량의 35%, 탄소 배출량의 38%를 차지하는 건설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정부, 지자체, 기업 간 협업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날 세미나는 이민정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의 진행으로 이승혁 충남산학융합원 선임연구원, 배경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세종본부 선임부장, 김종관 K-ICT기업인협회 본부장, 충남연구원 김양중 선임연구위원, 홍원표 연구위원 등이 참석해 충남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규제 대응 및 지원 방향을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전희경 충남연구원장은 "탄소중립 규제가 무역장벽으로 현실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상대적으로 대응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은 더욱 절실하다"며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충남도의 분야·지역별 산업 특성을 반영하는 적시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 지역 내 불어닥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tfcc202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