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내포=이정석 기자] 충남 청양군 지천댐 건설을 두고 충남도와 지역주민 간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고 있다.
충남도는 '물 부족 해소를 위해 반드시 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은 '소규모 물저장시설 등으로 물 부족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며 댐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11일 지천댐반대대책위원원회는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김태흠 충남도지사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지천댐 건설 추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김태흠 지사가 지원한다는 1000억 원은 예산 편성 계획도 없고, 근거도 없으며 도의회 의결도 거치지 않은 공수표"라며 "댐 건설 시 당연히해야 하는 전기·상하수도시설, 이주자단지, 공공시설 등을 마치 주민에게 특혜를 주는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반대 주민과 대화 한 번 하지 않았으면서 마치 부여군·청양군과 협의 없이 댐 건설 행정절차인 주민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며 "마치 의견을 수렴하는 것처럼 꼼수를 부리며 행정절차를 어물쩍 추진하며 댐 건설을 강행한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지천댐은 부여·청양에 물이 부족해 만드는 댐이 아니"라면서 "지천댐은 다른 지역의 물 부족을 채워주기 위한 지천 용수 수탈"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 "취수구를 설치하면 상수원 보호를 위해 취수구로부터 상류 15㎞, 하류 1㎞까지 공장, 노인요양시설, 주택, 숙박업 등 여러 가지 시설이 들어설 수 없는데 규제가 없다는 근거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대책위의 주장에 대해 충남도는 즉각 해명했다.
김영명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댐 건설 시 취수구 설치 문제는 환경부에서 공식 입장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규제가 없고, 또한 기본구상 용역을 통해 규제가 없는 취수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천댐을 건설하면 청양, 부여지역 홍수 발생 시 빗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커지고 댐을 통해 지체시켜 하류지역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또 금강홍수통제소에서 선제적으로 우기를 고려해 저류량을 결정하므로 치수 안전을 제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댐 건설 시 지원하겠다고 한 1000억 원에 대해서는 환경부 건설사업 및 지원사업 이외에 도에서 추가로 지원하는 예산이며, 댐 협의체를 통해 주거, 산업, 농축산, 관광분야에 집중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대책위에서 주장하는 협의 문제에 대해서는 "지난해부터 환경부 지역설명회, 공청회 및 도 간담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견 수렴을 하고자 했으나, 회의 자체를 거부해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라며 "이번에 구성하는 협의체에 참여해 의견을 개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