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의회 후반기 주도권을 놓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4·2 재보궐선거’에서 한판 대결을 펼친다.
양당이 동수인 구도 속에서 치러지는 선거인 데다 가능성 높은 조기대선의 전초전 성격도 강해 치열한 접전이 예상된다.
10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다음 달 2일 성남6 선거구와 군포4 선거구 등 도의원 2명을 새로 선출한다.
성남6 선거구는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이기인 현 개혁신당 최고위원이 사퇴하면서, 군포4 선거구는 김판수 전 도의회 부의장이 지병으로 유명을 달리하면서 공석이 됐다.
관할 선관위는 13~14일 후보자등록신청을 받는다. 공식 선거운동은 20일부터 시작된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등은 이미 공천 작업을 마무리하고, 사실상 선거전에 돌입한 상황이다.
민주당은 성남6 선거구에 김진명 전 분당판교청소년수련관장을, 군포4 선거구에 성복임 전 군포시의회 의장을 내세웠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성남6 선거구에 이승진 가천대 겸임교수를, 군포4 선거구에는 배진현 군포 당원협의회 부위원장을 배치했다.
단 2곳에서 치러지는 선거이나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신경전은 치열하다.
도의회가 국민의힘 76석, 민주당 76석으로 양분된 상황에서 그 결과에 따라 후반기 운영의 주도권이 좌지우지되는 탓이다.
도의회는 지난해 양당의 팽팽한 기 싸움으로 인해 기획재정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가 개원 이래 처음으로 무산되는 등 파행을 거듭했다.
연말 예산안을 심의하면서는 양당이 합의에 이르지 못해 법정처리 기한을 넘기며 준예산 사태 직전까지 갔다.
양당으로서는 가능성 높은 조기 대선과 내년 치러질 지방선거에 대한 민심을 엿볼 수 있는 시험지이기도 하다.
성남6 선거구는 지난 8차례 지방선거에서 6차례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했던 보수 텃밭이다. 반면 군포4 선거구는 민주당 후보가 내리 재선한 대표적인 진보 지형으로 분류된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재보궐에서 1곳이라도 패하면 남은 지방선거까지 끌려다닐 수밖에 없는 데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 이후 차기 대선까지 이어질 수 있어 양당이 사활을 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