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내포=이정석 기자]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청양 지천댐은 도 미래 100년을 책임질 사업으로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반드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찬반 측 주민이 포함된 협의체를 구성해 의견을 수렴하고, 필요하다면 주민투표도 고려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6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천은 지형적인 여건과 풍부한 수량으로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최적지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면서 "단순한 물 관리를 넘어 주거·산업·농축산·관광 등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기후대응댐 예정지 14곳에 대해 후보지와 후보지(안) 등으로 분류할 예정"이라며 "도에서 찬·반 양측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충분한 협의와 논의를 거쳐 후보지로 최종 확정될 수 있도록 할 것이고 필요하다면 주민투표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댐 건설 지역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도 약속했다.
도는 군과 함게 산업단지 조성 및 앵커기업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수몰지역 주민이 모여 살 수 있도록 이주단지 조성 지원 및 주민 생계를 위해 추가로 태양광, 스마트팜, 대토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축사 현대화, 스마트 축산단지 조성 등 깨끗하고 안정적인 축산 기반을 마련하고, 전망대와 출렁다리 등 관광 명소화 계획도 수립해 지원한다.
또 댐 건설법 시행령 개정으로 국지 지원 330억 원과 도 추가 지원 1000억 원 등으로 주거‧산업‧농축산‧관광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반대 측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숙박‧음식업‧공장의 설립제한 △댐 건선로 인한 마을 공동체 파괴 △타 시군을 위해 청양군민만 피해 등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김 지사는 "반대 측이 주장하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숙박·음식업·공장설립 제한은 없고, 청양·부여에 부족한 생활·공업 용수도 우선 공급된다"며 "지역주민에게 피해만 주고, 이익은 타 시군이 가져간다는 주장은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천 수계 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 용량 5900만㎥ 규모로 건립할 계획이며, 이는 예산 예당저수지(4700만㎥)나 논산 탑정저수지(3100만㎥)보다 조금 큰 용량으로 본격 가동 시 공급 가능한 용수는 하루 38만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이다.
tfcc2024@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