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대구=박병선 기자] 대구 도심에 산재한 5개 군(軍)부대가 대구 군위군으로 옮겨가게 됐다.
대구시는 5일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위원장 김동영)'가 평가한 결과, 예비후보지 대구 군위군, 영천시, 상주시 등 3곳 가운데 대구 군위군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군위군이 선정되면서 대구 도심에 있던 군부대들이 같은 행정구역인 대구 외곽으로 이전하는 결과를 낳아 이전사업의 목적 및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대구시는 이날 "최종 이전지 선정을 위한 평가는 도시개발, 사업타당성, 국방군사시설 분야의 관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에서 예비후보지 지자체별 발표 및 질의응답, 평가자료 최종검토 등을 거쳐 진행됐다"고 밝혔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군위군은 평가 점수 총 100점(사업성 60점, 수용성 40점) 중 95.03점을 받는 등 압도적인 점수를 받았고 영천시는 82.45점, 상주시 81.24점을 받았다.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시가 기부 대 양여 방식의 사업 시행자를 맡으며 내년 상반기 군위군과 합의각서 체결에 이어 2027년 착공, 2030년 공사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전 대상은 수성구에 위치한 육군 제2작전사령부(38만 평), 육군 5군수지원사령부(23만평), 공군 방공포병학교· 1미사일여단(19만평), 북구에 위치한 육군 제50사단사령부 등 4개소, 5개 부대다. 이주 인원은 군인, 군무원, 군인 가족 등 6000명으로 추산된다.
군위군 선정은 이미 예견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구시가 출연출자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에 이전지 평가를 의뢰하면서 일찌감치 군위군으로 결정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돌았다.
탈락 지자체들은 "대구시가 타 지자체를 들러리로 세운 것도 문제지만, 군부대가 도시발전을 가로막는다는 이유로 이전사업을 시작했는데 대구에서 대구로 옮긴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반발하고 있어 적잖은 후유증이 예상된다.
tk@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