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전 국민 25만 원 VS 취약계층 촘촘히, 중도보수 VS 유능한 진보, 개헌 논의 속도조절 VS 임기단축 약속, 상속세 완화 VS 핀포인트 대책…’
조기대선 가능성이 높아가면서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당대표와의 차별화 행보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당내 유력한 대선후보인 이 대표와 경쟁구도를 형성, 존재감을 높이려는 행보로 읽힌다.
27일 <더팩트>의 취재를 종합하면 김 지사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이후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방식과 당정체성, 개헌 시기 등을 두고 이 대표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발언 수위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시계’가 빨라질수록 점점 거세지는 분위기다.
김 지사는 지난 24일 오후 JTBC 오대영 라이브에 출연해 "민주당은 유능한 진보"라며 "중도 확장이라든지 선거 전략으로써 이것은 필요하겠지만, 우리가 갖고 있는 핵심이 변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이 ‘중도보수’ 정당이라는 이 대표의 언급을 겨냥한 것이다.
이 대표가 "지금은 내란 수습에 집중할 때"라며 거리를 두고 있는 권력구조 개편 등과 관련해서는 아예 "임기단축 개헌 약속을 지키라"며 압박하고 있다. 조기대선을 전제로, 다음 대통령의 임기를 2년 줄여 차기 대선과 총선 시기를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지사는 "3년 전 대선후보 단일화 당시 (이 대표가) 이미 서명도 했다"며 28일 예고된 회동에서 ‘약속이행’을 요구할 것이라고도 공개 선언했다. 이 대표에게 ‘말 바꾸기’ 이미지를 덧씌우려는 속내가 보이는 대목이다.
지난 20대 대선 두 사람은 단일화를 하면서 분권형 대통령제와 책임총리제 등을 담은 ‘제7공화국’ 개헌 등에 합의했다.
김 지사는 민생회복지원금의 지급방식을 놓고도 이 대표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반박하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 14일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전 국민에게 똑같이 25만 원씩 나눠주는 것에 대해서는 한계소비성향과 정책일관성 등에서 두 가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취약계층일수록 소득이 올라가면 돈을 쓰는 비율(한계소비성향)이 높고, 부자들은 소득이 늘어단다고 그 돈을 소비하지 않는다"며 그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이 대표가) 추경을 위해선 전 국민 25만 원을 양보 내지 철회할 수도 있다고 했는데 결국 끼워 넣었다"며 "일관된 우리 입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비판했다.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이 "소비로 이어지면서 경제적 승수효과를 높이는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이라는 이 대표의 의견과는 전혀 다른 셈이다.
상속세 완화 등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지금 중요한 것은 실용주의나 상속세 논쟁이 아니라 민주당의 당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이라고 일침을 놨다.
그는 "상속세도 집 한 채밖에 없는 나이 드신 분들이라든지, 중소기업인 중 가업을 승계하는 분들같이 힘든 분들을 위한 ‘핀 포인트’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 대표의 발언이 선거를 앞두고 ‘감세 포퓰리즘’ 또는 ‘부자 감세’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
윤 대통령 구속 이후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세를 보일 때는 이 대표를 염두에 둔 듯 '회색 코뿔소'를 예로 들어 "달려오는데 대처 안 하는 건 반성해야"고 직격했다.
김 지사의 입에서는 ‘교체’와 ‘통합’이라는 말이 부쩍 늘고 있다.
‘경제 정책’과 ‘글로벌 감각’ 등 이 대표에 상대적으로 우위라 생각하는 자신의 강점도 부각 중이다.
김 지사는 경제관료 출신으로 미국에서 유학했다.
그는 "이제는 정권교체를 넘어 삶의 교체로 나가야 한다"면서 "현재 정치 상황 속에서 내전에 가까운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국민들이 어떻게 먹고살아야 하는지 측면에서 보면 오랫동안 대한민국 경제정책을 총괄하고 수많은 (해외)정치, 경제지도자들과 (맺은) 네트워킹은 큰 강점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