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가 순환경제 실현을 위해 대형생활폐기물 재활용률 100% 달성에 도전한다. 광명시는 가전제품·가구·침구·자전거 등 대형생활폐기물을 전문 선별화한 후 남은 잔재물까지 재활용한다고 26일 밝혔다.
현재 대형생활폐기물 잔재물은 대부분 그대로 버려지는 폐합성수지로, 단순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어 환경 오염과 온실가스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폐합성수지를 시멘트 소성로 연료, 친환경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해 지난해 대형생활폐기물 재활용률 77%를 올해는 100% 가까이 늘려 자원 순환 경제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기술 발전으로 폐합성수지에서 친환경 시멘트 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 후 잔재물로 시멘트 소성로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시멘트 회사에서 폐합성수지 수요가 늘어남에 따른 조치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은 물론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각은 처리비, 수송비, 소각 처분 부담금 등 각종 비용이 톤당 22만 7000원인데, 재활용하면 톤당 15만 3000원이 소요돼 비용이 약 32.6% 절감된다.
시는 대형생활폐기물은 지난해 약 1500톤이 발생했으며, 올해는 인구 변화에 따라 1710톤까지 발생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올해 폐합성수지 처리비용은 약 1억 2681만 원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하면 화석연료 사용량 감소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효과도 기대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기준을 적용하면 폐합성수지 1710톤을 소각하는 경우 4617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데, 이를 재활용하면 배출량이 약 80.7%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시는 지난 14일 폐합성수지 재활용업체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사업 시작 1주일 만에 폐합성수지 32톤을 재활용 처리하는 등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폐기물 감축과 재활용 확대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실천 과제"라며 "실효성 있는 자원순환 정책을 발굴하고 시행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경제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지난해 순환경제 체계를 구축하고 대형생활폐기물 77%를 재활용했다. 이는 2023년 41%와 비교해 36%p 증가한 수치다. 시는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행정안전부 주관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지방자치단체분야에서 최우수상(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vv8300@tf.co.kr